
경북도가 사라져 가는 동네 서점 살리기에 나선다.
19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역 서점들은 스마트폰 사용 보편화, OTT(온라인동영상 서비스) 매체 유행, 대형서점 성장, 온라인 시장 확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경영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2년 지역서점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북도내 서점은 160개로 서울(492), 경기(438), 부산(198) 다음으로 많으나 서점이 하나뿐인 지역이 3곳(고령, 성주, 영양), 서점이 하나도 없는 지역은 3곳(청송, 봉화, 울릉)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편중이 심하다.
경북도는 지역 서점의 자생력을 높이고자 서점이 단순히 책만 사고파는 공간이 아니라 북콘서트와 음악회도 여는 등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지원 체계를 정비하기로 했다.
지역서점 활성화 사업의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정비해 지역서점의 요건을 마련하고, 교육청과 협력해 학교나 공공도서관 등이 도서 구매 때 지역서점 이용을 우선토록 하는 조항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160개 지역서점의 실태를 조사해 특색 있는 서점을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경북의 책’ 지도를 제작해 도민과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영세한 지역서점의 직접적인 매출 증가와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경북도서관과 시군 공공도서관 등과 연계해 도서 구입 때 지역서점에서 우선 구입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지역서점에서 구입한 도서를 읽고 공공도서관에 반납하면 책값의 일부 금액을 지역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책값 돌려주기’ 사업도 벌인다.
반납 받은 책은 학교, 아동복지시설, 공공기관 등에 기증한다.
지역 서점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한다.
서점의 노후 간판 교체 비용을 지원하고, 서점 종사자와 창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경영 컨설팅, 창업 및 정보화 교육을 해 동네서점의 전문성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서점이 없는 지역에는 유휴공간을 주민 사랑방으로 만들어 독서모임 등 주민 주도형 문화공간으로 만들기로 했다.
또 지역별로 특색 있는 서점을 선정해 경북도서관이 진행 중인 ‘북가락 문화 아카데미’, 독서문화 프로그램은 물론 지역 음악가와 웹툰 작가의 공연이나 특강도 이곳에서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학창 시절 누구나 동네서점에서 신간 도서를 읽거나 참고서를 본 향수가 있듯이 지역 서점은 단순히 책을 파는 곳이 아니라 지역민들이 만나고, 사람과 책이 만나는 사랑방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 지역서점을 도민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 경쟁력을 높이고 도민들이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소통의 장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