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2004년 개통 이후 19년만에 이용객 10억명 돌파

Է:2023-08-30 16:19
ϱ
ũ
KTX 이용 인포그래픽. 코레일 제공

2004년 운행을 시작한 KTX의 이용객이 개통 19년만에 10억명을 돌파했다.

한국철도(코레일)는 2004년 4월 1일 첫 운행을 시작한 KTX가 31일 누적 이용객 10억명을 넘어설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개통 이후로부터 19년 5개월, 2015년 누적 이용객 5억명을 돌파한 이후 8년여만의 기록이다. 대한민국 5000만 국민이 1사람당 20번씩 KTX를 탄 셈이다.

KTX의 누적 운행거리는 지구 둘레(4만㎞)를 1만5500바퀴 도는 것에 해당하는 6억2000만㎞에 달한다. 10억명이 이동한 거리를 모두 합한 거리는 총 2520억㎞로 지구~태양 거리인 1억5000만를 840번 왕복한 것과 같은 수치다.

올해 KTX 하루 평균 이용객은 22만6000명으로 2004년 7만2000명과 비교하면 3배 넘게 증가했다.

이용객은 매년 늘고 있으며 누적 이용객 수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5억명 달성은 개통 후 11년 5개월 만인 2015년 9월이었는데, 10억명까지 걸린 시간은 7년 11개월로 3년 5개월을 앞당겼다.

코레일은 2004년 경부선(서울~부산)과 호남선(용산~목포) 운행을 시작으로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다.

2004년 개통 첫해 경부·호남 2개 노선의 20개 역에만 다니던 KTX는 2023년 현재 전국 8개 노선 67개 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루 운행 횟수는 토요일 기준 357회로 개통 초기 142회에 비해 약 2.5배 늘었다.

고속열차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간은 하루 평균 1만7000여명이 타고 내리는 서울~부산구간이다. 이어 서울~대전과 서울~동대구 구간이 1만2000여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9만4000여명이 이용하는 서울역이다. 서울역에서는 경부선과 호남선, 강릉선 등 모두 6개 노선의 열차가 출발한다.

국민들의 생활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고속철도 정기승차권을 활용한 장거리 출퇴근이 가능해진 덕분이다.

지난해 정기권 이용객은 404만명으로 개통 첫 해 46만7000명과 비교하면 8.7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KTX 하루 이용객이 3.2배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정기권 이용객이 훨씬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정기권 이용객이 가장 많은 구간은 전체의 17.1%를 차지한 서울~천안아산 구간이었으며 11%를 기록한 서울~오송 구간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고객 서비스도 크게 개선됐다. 승차권 예매 방식 역시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추세다.

일례로 모바일 앱 ‘코레일톡’과 홈티켓 등 비대면·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승차권 자가발권 비율은 지난달 기준 89.2%에 달했다. KTX 개통 초기 역 창구 발권이 85%였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또 2020년 추석부터 명절 열차 승차권 100% 비대면 예매를 시행하면서 역 창구에서 밤샐 필요도 없어졌다.

코레일은 코레일톡과 연계된 여행 서비스 제공, 승차권 예매 시 결제 방식을 다양화 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KTX 이용객 10억명 돌파는 국민과 함께 이룬 소중한 성과이자 대한민국 성장의 기록”이라며 “더 안전하고 스마트한 코레일을 위해 서비스와 디지털 혁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