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차량에 색을 입히는 ‘도장 공정’에서 탄소 배출을 약 40% 줄일 수 있는 신기술을 30일 공개했다.
자동차는 도장 공정에서 뜨거운 열을 가해 도료(塗料)를 굳히는 ‘경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도료가 쉽게 벗겨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다. 최소 140도 이상의 온도에서 약 20분간 열을 가해야 도료 안에 든 멜라민 성분이 단단히 굳는다. 이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한 해 약 873t에 달한다.
현대차는 멜라닌 대신 ‘이소시아네이트’란 성분이 중심인 도료를 개발했다. 도료에 가하는 열의 온도를 90도로 낮춰도 기존과 동일한 도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50도나 낮은 온도로 도료를 굳히는 게 가능해지면서 생산과정에서의 에너지 소모도 획기적으로 줄였다.
도장 공정은 전체 자동차 제조 공정 가운데 가장 많은 에너지(약 43%)를 사용한다. 탄소 배출도 가장 많다.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이 상용화되면 탄소 배출과 가스 사용량을 각각 40%가량 절감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전 세계 현대차 공장에 적용할 경우 한 해 절감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는 약 1만6000t에 달할 것으로 현대차는 전망했다. 소나무 200만 그루가 흡수하는 탄소량이다.
‘저온 경화 기술’은 도장 품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기존의 경화 공정은 차체와 재질이 다른 플라스틱 범퍼나 펜더(바퀴 덮개) 등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새로 개발한 기술은 차체, 범퍼, 펜더 등에 도장과 경화를 한 번에 적용할 수 있다. 부위별로 색깔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까지 해결한 셈이다. 이 신기술은 다양한 재질의 부품을 사용하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에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울산 5공장에서 이 기술을 시범 적용해 제네시스 G80을 시험 생산했다. 향후 지속적으로 이 공정을 운영하며 실제 생산 과정에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도장 공정에서 에너지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을 통해 현대차의 2045년 탄소중립 목표에 한 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