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도심의 낙후지역 개발과 혐오시설 조성사업이 순항 중이다. 그동안 발전 소외지로 꼽혀온 임동 일원에 대형 복합쇼핑몰·대형 호텔 건립이 구체화하고 난항이 예상되던 쓰레기소각장은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26일 광주시에 따르면 복합쇼핑몰이 들어설 임동 전방·일신 방직 공장부지 개발을 위한 민간사업자(휴먼스홀딩스피에프브이)와의 사전 협상이 막바지 단계다.
시와 민간사업자는 방직 공장부지 29만6340㎡에 여의도 ‘더현대 서울’을 뛰어넘는 ‘더현대 광주’와 함께 300실 규모의 49층 특급호텔과 4186세대의 아파트를 건립할 계획이다.
근대산업 유산인 공장 시설물 15곳은 원형 보존하거나 이전하는 데 합의했다. 양 측은 늦어도 7월 말까지 공공기여 범위를 확정하고 사전 협상을 매듭짓기로 했다.
공공기여는 토지 개발과정에서 지자체가 규제를 완화하는 대신 이익의 절반 수준을 공공 이익을 위해 활용하는 방식이다.
시는 일반 공업지역인 임동 공장 터를 일반 상업, 준주거, 2종 일반주거 등으로 변경해주는 대신 땅값 상승 혜택을 받는 민간사업자로부터 최대한 공공기여를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시는 도심의 새 랜드마크가 될 특급호텔은 애초 구상보다 객실을 50실 늘리고 개발사업 재원 마련을 위한 아파트는 500여 세대 줄인다고 설명했다.
근대산업 유산 가운데 일제 강점기 가동되던 화력발전소와 물탱크 등 4곳은 원형 보존하고 해방 이후 지은 공장과 기숙사 등 11곳은 사안별로 보전하거나 이전해 보존하기로 했다.
시는 건축 인·허가 과정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내년 말 전방·일신 방직 공장부지에 복합쇼핑물과 호텔 건립사업이 착수돼 2027년 말이면 임동 일원이 ‘상전벽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소각장 폐쇄에 따라 추진해온 쓰레기소각장 유치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혐오시설로 인식되던 쓰레기소각장 건립에 예상을 깨고 6곳이 신청을 마쳐 유치경쟁이 불을 뿜게 됐다.
지난 4월 25일부터 60일간에 걸친 소각시설 입지후보 공모를 마감한 결과 법인 1곳, 단체 1곳, 개인 4곳이 후보 부지로부터 300m 이내 거주민의 50% 이상 동의를 얻어 공모에 참여했다.
대표적 혐오시설로 기피 대상이던 소각장 유치전에 이례적으로 너나없이 뛰어든 양상이다.
소각장 유치지역에 600억~800억원의 편의시설, 300억원의 주민숙원사업, 200억원의 자치구 교부금 등 1000억원대의 지원혜택을 제공하는 게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시는 2016년 말 상무소각장이 폐쇄된 이후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을 활용해왔으나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매립이 금지돼 신규 소각장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복수후보 신청에 따라 입지선정 절차를 서둘러 내년 상반기까지 부지 선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주민동의와 면적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공모기준 충족 여부를 검증한 뒤 주민대표 등이 참여한 입지선정위를 구성해 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절차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한다.
시는 최적 연소를 통한 다이옥신 최소화와 함께 3~4단계의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소각장 굴뚝 원격감시체계를 도입해 환경오염 논란을 잠재운다는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굵직한 현안이 순차적으로 매듭되고 있다”며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복합쇼핑몰과 환경친화적 소각장이 차질없이 건립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