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고양과 김포 등 수도권에서 28개 지점을 운영했던 한 대형 프렌차이즈 헬스장이 갑작스럽게 폐업을 선언하면서 ‘기획 먹튀’ 의혹까지 일고 있다. 적게는 수십만원, 많게는 700만원 넘게 피해를 본 회원들은 대표를 상대로 고소를 이어가고 있다. 해당 휘트니스는 사이비 교주 정명석을 연상케 하는 상호 탓에 교단 관련 업체 아니냐는 오해를 사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김포 지역의 한 지점에 등록한 직장인 A씨는 13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개인운동레슨(PT·퍼스널트레이닝) 100회를 등록하면 할인해서 1회당 3만원가량만 받겠다고 결제를 유도했다”며 “운동을 꾸준히 해보고 싶어서 큰 마음 먹고 등록한 건데 너무 화가 난다”고 말했다. PT 300회를 등록했던 A씨는 아직 250회가 남아 있지만, 헬스장은 문을 닫았다. 피해 금액은 약 750만원이나 되지만, 환불을 문의할 곳조차 없는 실정이다.
B씨 역시 트레이너의 권유로 PT 50회를 등록했지만 반절도 진행하지 못한 채 헬스장 부도 소식을 들어야 했다. 175만원 상당에 해당하는 수업 35회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B씨는 “트레이너가 환불신청서를 쓰라고 구두로 알려줘서 썼지만 이후 소식이 없어서 헬스장에 전화를 걸었더니 아예 응답이 없다”고 했다. 그는 남은 할부금이라도 돌려받기 위해 카드사에 할부 항변권을 접수해 놓은 상태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는 이들과 비슷한 상황의 회원 1000여명이 모여 피해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주로 10회 단위로 PT를 등록하다 보니 회원들 대부분 피해금액이 100만원을 훌쩍 넘어선다.
갑작스러운 폐업에 회원뿐 아니라 업체 소속 직원들도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2년 넘게 이곳에서 근무한 C씨의 경우 지금까지 받지 못한 임금이 퇴직금 포함 3000만원이 넘는다. 임금 지급 기약이 없자 대신 부도난 지점을 인수해 운영을 시작한 직원도 있다. D씨는 “정상적으로라면 본사가 회원들의 환불처리를 해줘야 하지만 지금은 지점을 넘겨받은 임원들이 알아서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경찰은 수사에 착수했다. 앞서 전날 김포 지역 피해자 30여명은 김포경찰서에 업체대표 전모씨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일산서부경찰서, 부천원미경찰서 등에도 피해자들의 고소장 접수가 이어졌다. 경찰은 “전담팀을 꾸려 최대한 신속하게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일보는 전씨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
대형 헬스장의 ‘먹튀’는 고질적 문제지만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다 부도가 나면 회원들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다.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에 따르면 폐업은 사업자의 귀책사유지만 사업자에게 보상을 강제할 법적 근거는 없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전세보증보험처럼 헬스장 사업자들도 보증보험을 들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그대로 폐기됐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