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BS(교통방송)가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으로 인해 제기된 정치적 편향성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방송출연제한 심의위원회 설치·임직원 정치활동 금지 등을 재발 방지책으로 내놓았다. 시사 프로그램도 한동안 제작하지 않을 방침이다.
정태익 TBS 대표는 1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 라디오공개홀에서 ‘공정성 강화를 위한 TBS 혁신 방안’을 발표하며 “정치적 편파 논란으로 인해 공영방송으로서 공정성을 훼손하면서 시민들에게 큰 실망을 줬다”며 “시민들의 비판을 귀담지 못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혁신안에 따르면 TBS는 우선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방송출연제한 심의위원회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마약·폭행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인물뿐 아니라 방송통신위원회 등 감독기관으로부터 법정제재를 받은 인물 출연도 규제한다는 방침이다. TBS는 지난달 임직원 행동강령을 개정해 임직원의 정치활동 금지 규정도 마련했다.
이와 동시에 콘텐츠 시민참여단을 신설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 직원 대상으로 제작 가이드라인 및 보도준칙 교육도 의무화한다. ‘김어준의 뉴스공장’ 같은 시사프로그램도 제작하지 않는다. 고민석 TBS 라디오제작본부장은 “가이드라인에 대한 인식과 재교육, 팀장과 본부장 등의 데스킹 능력이 성숙할 때까지 시사프로그램은 편성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대신 출·퇴근 시간대에는 음악이나 예능, 인문과학 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들이 편성된다. 또 서울형 보도체계를 구축해 25개 자치구와 426개 행정동을 중심으로 부동산·교통·재난 등 지역 밀착 취재를 강화한다.
TBS는 지난해 88억원의 예산이 삭감되면서 방송기능 중단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서울시가 지난 5월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과정에서 73억원의 예산을 반영한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의회에서는 예산 편성에 부정적인 기류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TBS는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안도 함께 발표했다. 우선 대표이사와 부서장의 업무추진비를 전액 삭감하고 간부 직원의 연봉 4%를 반납한다. 전 직원의 연장근로를 제한해 지난해 대비 해당 예산의 59%를 감액 편성했다. 신규채용을 전면 중단하고 5년 내 정원의 20%도 감축한다. 이를 통해 30~40억원 정도의 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혁신안에 사명 변경안은 담기지 않았다. 정 대표는 “사명 변경도 고려했었지만 아직 시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상태라 미뤄둔 상태”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