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로 ‘이것’까지 산 공무원들…전남도 50명 적발

Է:2023-05-25 16:14
ϱ
ũ
전남도청 전경. 전남도청 제공

전남도 공무원들이 혈세로 상품권,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지갑 등 개인용품을 구입한 사실이 감사에 적발됐다. 지방 공무원들의 만연한 도덕적 해이를 고스란히 드러내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다.

전남도 감사관실은 지난 2개월 동안 도의회를 포함해 도청 74개 부서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 사무관리비 집행내역 23만건을 감사한 결과 총 50명이 예산을 사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5일 밝혔다.

감사관실은 이 중 횡령액이 200만원 이상인 6명을 전남지방경찰청에 수사 의뢰했다. 또한 10명은 중징계를, 4명은 경징계를 각각 요구하기로 했다. 액수가 경미한 30명은 훈계 조치했고 사무관리비를 부적정하게 사용한 부서들에 대해서는 주의 조치를 내렸다.

이 중 상당수는 공무원 노동조합이 운영하는 매점에서 개설한 G마켓 계정을 이용해 공용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사적 물품을 끼워 넣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전남지방경찰청은 노조 사무실과 매점 등을 압수수색하고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드린다”며 “관련자를 강력히 처벌하고 불법적으로 지출된 예산도 전액 환수하겠다.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강도 높은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집행부는 사과문을 내고 “이런 사태를 방지하지 못한 책임을 깊이 통감하고 있다”며 “속죄하는 마음으로 매점 운영권 양도를 적극 검토하고 수익금을 사회에 환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남도는 공무원들의 횡령을 막고자 제도 개선책도 내놨다. 물품 구매는 회계과가 발급하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직접 인터넷 사이트에서 하도록 했다. 100만원 이상 물품을 구입할 때는 실·과장이 ‘물품검사 조서’에 확인증을 작성하도록 했다.

또 공금 횡령과 유용의 고발 기준도 횡령은 현행 200만원 이상에서 100만원 이상으로, 유용은 3000만원 이상에서 200만원 이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당해 연도에 집행한 물품 구입비·홍보비·출장비 예산의 목적 외 사용, 과다 집행 등 비위 행위에 대해 매년 12월 집중 감사를 벌이기로 했다. 회계담당자 직무교육과 전 직원에 대한 청렴도 교육도 연 1회에서 2회로 각각 늘린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