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현재 34% 수준인 공공보육 이용률을 오는 2026년까지 50%로 끌어올리기 위해 매년 국공립어린이집 170곳 이상을 조성키로 했다.
아울러 현재 320곳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은 2027년까지 380곳으로 늘린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년)’을 수립해 올해부터 시행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육발전계획은 영유아의 권리 존중 보육 실현, 보육 교직원 권리 존중 및 역량 강화, 모든 양육자의 육아 역량 강화, 공공보육 기반 확대 및 보육의 질 제고 등 4개 목표 아래 총 41개 과제로 구성돼 있다.
도는 도내 아동에게 ‘더 많은 보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공립어린이집을 현재 1300여 곳에서 2026년까지 매년 170곳 이상 확대한다.
이를 통해 도의 공공보육 이용률을 현재 34%에서 2026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올해부터 지역 간 어린이집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존 공동주택 어린이집 대상 국공립어린이집으로의 전환 지원금(1억2000만원), 국공립어린이집 신규 설치 시 개원준비금 지원(2000만원) 등 공공보육 인프라 확산을 위한 신규사업도 추진한다.
‘더 고른 보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으로 올해부터 도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외국인 아동을 대상으로 보육료 월 10만원을 지원한다.
‘더 나은 보육 기회’ 확산 차원에서 민선 8기 공약의 하나인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을 위해 도 특색 사업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을 현재의 320곳에서 2027년까지 380곳으로 5년 동안 60곳을 늘릴 계획이다. 0세아전용 어린이집은 세심한 보육이 필요한 0~1세 영아를 위해 교사 대 아동 비율을 1대 2(0세) 혹은 1대 3(1세)으로 줄인 곳이다.
이밖에도 도는 올해부터 민간, 가정어린이집 대상으로 200만~300만원 환경개선비를 지원해 노후 보육시설을 개선한다.
도는 가족의 다양성, 저출생 등 보육환경의 변동과 취약 보육, 틈새 보육 등 수요자의 요구 다변화 등의 추세를 반영해 이번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지주연 도 여성가족국장은 “저출생의 영향으로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은 줄어드는 반면, 학부모 등 수요자의 요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며 “중장기 계획에 담긴 생활밀착형 정책을 통해 도내 영유아가 거주지역, 재원 시설 등에 차별 없이 더 많은, 더 고른, 더 나은 기회를 누릴 수 있는 보육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