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00억원을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에 투입해 총 580여건이 추진됐다고 28일 밝혔다.
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은 중소기업이 경영활동에 전념하도록 시·군과 협력해 각종 기업애로를 해소하는 사업을 말한다.
노동환경, 작업환경, 기반시설, 지식산업센터 노동환경 등 총 4개 분야로 나눠 추진됐으며 2500여개 업체와 2만1500명의 노동자가 혜택을 받았다.
특히 올해 사업에서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경제 시스템 확대 추세를 고려해 화상회의실 구축, 무선화재감지기 설치, 컨베이어 작업대 구축 등 중소기업 디지털화에 필요한 지원을 신규로 추가해 지원했다. 기업 자부담 비율도 40%에서 30%로 낮춰 중소기업의 재정부담을 줄였다.
노동환경 및 작업환경 개선사업은 기숙사, 화장실 또는 작업장 바닥, LED조명 등의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노동환경 개선에 95개사, 작업환경 개선에 454개사를 지원했다.
노동자들의 복지 증진과 안정된 고용 유지를 위해 기숙사 건립 지원한도액을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상향하는 등 중소기업의 재정부담 경감과 인력난 해소에 주력했다.
기반시설 개선사업과 지식산업센터 노동환경 개선사업은 중소기업 밀집지역과 노후 지식산업센터를 대상으로 도로, 상하수도, 주차장 등 공용시설의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반시설 개선 분야에 25건 사업을 추진해 239여개 기업이 혜택을 받았다.
지식산업센터 노동환경 개선 분야는 10건 사업이 완료돼 1740여 개 사가 수혜를 받았다.
노태종 도 특화기업지원과장은 “이 사업은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금리·물가상승 등에 따라 어려운 시기를 직면하고 있는 열악한 중소기업의 시설 개선은 물론 노동자들의 복지 향상 등 기업의 관심과 호응이 가장 큰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시·군과 협력해 중소기업의 노동·작업환경을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