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방사능재난 시민대피 강화…방호시설은 제로

Է:2022-11-30 12:51
ϱ
ũ

울산시가 방사능 재난 발생 시 방재 훈련을 강화하고 있지만 울산에 대피시설 중 방사능·화생방을 피할 수 있는 방호시설은 전무한 실정이다.

울산시는 울산 전역에서 새울원전의 방사능 누출 사고를 가정한 ‘2022년 새울원전 방사능방재 합동훈련’을 실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합동훈련은 시와 5개 구·군을 포함해 민·관·군·경·소방 등 1500여 명이 참여하고, 헬기 2대, 여객선 1대, 전세버스 24대가 동원되는 등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열리는 최대 육해공 대피 훈련이다.

훈련은 새울원전 2호기의 증기 발생기 세관(전열관) 누설로 인한 원전 계통 이상 상황을 가정해 지역방사능방재대책본부 운영과 주민 보호조치 훈련, 이재민 구호시설 운영 등 비상 단계별 대응 체계를 중점 점검한다.

시는 140여명으로 구성된 지역방사능방재대책본부 설치·운영을 통한 기관별 임무 점검, 서생면 17개 마을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 비상경보 전파, 동구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갑상샘 방호약품 배부 및 복용 등의 훈련을 한다.

또 학생과 온산국가산단 근로자 등 680여 명이 참여하는 주민 소개 훈련으로 신속한 주민 대피 상황을 점검한다.

이 밖에 교통 통제와 출입 통제, 방사선 비상진료체계, 합동방사선감시센터 운영 등도 점검한다.

시는 이번 훈련에서 전국에서 처음 구축한 정보통신기술(ICT) 및 각종 방사능방재 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활용할 방침이다.

또 방사능 누출 현장 조치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방사능재난 시민대피 통합관리 시스템도 활용한다.

이처럼 울산시가 주민보호 조치가 한층 강화된 방사능방재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울산지역에 방사능을 견딜 수 있는 방호시설을 갖춘 ‘정부지원 대피시설’은 0개소다.

정부지원 대피시설은 방폭문, 가스차단문, 화생방 방지시설 등의 공격에도 대비할 수 있다. 현재 서해5도와 강원, 인천 등 국경 접경지역 238곳에만 정부지원 대피시설이 설치돼있다.

울산에는 484개의 주민 대피시설이 있지만 일시적인 대피시설 수준인 민방위 대피시설 뿐이다.

이에 대해 김두겸 울산시장은 “국가석유화학단지, 원자력발전소 등이 가까이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 화학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대피할 수 있는 화생방 방호시설에 대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