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지 하루 만에 산업계 곳곳에서 피해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6월에 이어 ‘물류 마비’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5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약 190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시멘트협회에 따르면 화물연대의 운송 거부로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를 이용한 시멘트 육송 출하는 거의 중단됐다. 국내 일일 시멘트 수요는 성수기 기준으로 약 20만t이지만, 화물연대 파업으로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육송 출하량이 1만t에도 미치지 못했다.
시멘트업계는 육송을 통한 출하가 거의 중단되자 철도와 선박운송을 통해 각 철도역과 항만에 위치한 출하기지에 최대한 시멘트를 수송해 재고를 비축하고 있다. 또한 운송 거부와 상관없이 시멘트 생산은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는 화물연대 총파업 첫날인 지난 24일 총 19개 화주사로부터 애로사항 32건이 접수됐다고 25일 밝혔다. 무협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까지 접수된 유형별 애로사항(중복선택 가능)은 납품 지연으로 인한 위약금 발생과 해외 바이어 거래선 단절이 16건(5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물류비 증가 10건(31%), 원·부자재 반입 차질로 생산이 중단된 경우는 6건(19%) 등 순으로 집계됐다.
무협은 수출품 운송과 선적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거래처와의 계약에 차질이 생기거나 수입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등 피해사례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화학기업에 원·부자재를 납품하는 한 업체는 무협의 요청으로 울산 경찰청의 화물차 에스코트 지원을 받아 원자재 운반 차량을 공장으로 진입시키기도 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벤처기업협회 등 10개 중소기업 관련 단체도 25일 입장문을 내고 “최근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3중고에 인력난과 원자재 가격 인상까지 겹쳐 중소기업 피해는 극심하다”면서 “화물연대의 일방적인 운송거부는 수출길마저 틀어막아 해외 거래처 주문이 끊기는 등 경영난을 가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화물연대는 지난 6월 집단운송거부를 통해 이미 1조6000억원 규모의 물류 차질을 일으킨 바 있는데 불과 5개월 만에 또다시 국민경제에 극심한 손해를 끼치는 집단운송거부에 나서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면서 “화물연대가 집단운송거부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안전운임제는 원래 목적인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와 화물연대는 전날 면담을 가졌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국토교통부는 “화물연대의 합리적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대화할 준비가 돼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