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칼텍스가 창사 이래 최대 금액인 2조7000억원을 투자한 올레핀 생산 시설(MFC시설)을 통해 종합에너지기업 도약에 나선다.
GS칼텍스는 전남 여수2공장 인근에 위치한 MFC시설 준공식을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준공으로 정유업의 비중을 줄이고 석유화학 분야를 확장해 유가 등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손익변동성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GS칼텍스는 MFC시설 준공을 통해 연간 에틸렌 75만t, 폴리에틸렌 50만t, 프로필렌 41만t, 혼합C4유분 24만t, 열분해가솔린 41만t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MFC시설은 나프타를 원료로 투입하는 기존 석유화학사의 나프타분해시설(NCC)과 달리 나프타는 물론 정유 공정에서 생산되는 액화천연가스(LPG), 석유정제가스 등 다양한 유분까지 원료로 투입할 수 있다. 동일 생산 능력을 가진 석유화학 시설보다 에너지사용량을 약 10% 줄일 수 있다.
나프타와 석유정제가스를 원료로 활용해 수소도 부가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기존 석유정제공정의 수소 생산을 대체해 액화천연가스(LNG)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총 7만6000t의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하다.
GS칼텍스는 MFC시설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제품인 에틸렌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우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시장에 진출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일상 생활에 쓰이는 비닐, 용기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에 활용되는 원료로 관련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MFC시설 준공은 비정유 사업 비중이 확대되는 사업 다각화와 성장성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정유사업에 더해 석유화학사업, 친환경에너지, 자원 재활용까지 포괄하는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