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의 화약고를 터뜨린 루터의 ‘9월 성경’”

Է:2022-08-22 17:27
ϱ
ũ

‘9월 성경’ 출판 500주년 맞아
프랑스위그노연구소, 지난 18일 제6회 정례회 개최

프랑스위그노연구소가 지난 18일 경기도 수원시 시은소교회에서 개최한 ‘제6차 프랑스 위그노 연구소 정례회’ 참석자들이 행사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프랑스위그노연구소 제공

독일의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1521년 교황과 황제로부터 사회의 이단자로 찍혀 목숨의 위협을 받는다. 튀링겐주 아이제나흐 바르트부르크성에 피신한 루터는 몸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도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성경을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11주간의 지난한 작업을 거쳐 “신약성경 독일어(Das Newe Testament Deutzsch)”가 완성됐다. 1522년 9월 드디어 세상에 빛을 본 이것을 교계는 ‘9월 성경(Septembertestament)’라고 부른다.

프랑스위그노연구소(대표 조병수 박사)는 이 ‘9월 성경’이 갖는 의미를 “‘오직 성경으로’를 외친 루터에게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성경을 번역하는 것은 절실하게 필요한 일이었다”며 “1517년이 루터가 95개 조항으로 종교개혁의 도화선에 불을 댕긴 해라면, 1522년은 ‘9월 성경’으로 종교개혁의 화약고를 터뜨린 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자리는 프랑스위그노연구소가 지난 18일 경기도 수원시 시은소교회(김철승 목사)에서 개최한 ‘제6차 프랑스 위그노 연구소 정례회’에서다. ‘9월 성경’ 출판 500주년을 기념해 열렸다. 주제는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였다.
조병수 박사가 ‘성경을 향한 고통: 루터의 신약성경 독일어와 에라스뮈스의 신약성경 비교’란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프랑스위그노연구소 제공

프랑스위그노연구소 교수 류성민 박사는 이날 ‘모두가 읽을 수 있는 말로:루터 성경의 역사와 의미’란 주제의 강연에서 “루터의 종교개혁에서 성경은 핵심적 주제”라며 “루터가 ‘9월 성경’을 번역한 동기는 성경을 일상 언어로 들려주기 위함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목적에 맞게 루터는 성경 번역 원리를 문자 전달이 아니라 의미 전달에 두면서 번역자의 자유를 충분히 활용했고 신학적 해석에 충실했다”며 “루터의 번역 원리는 1522년 ‘신약성경 독일어’ 번역에서 1534년 성경전서 번역에 이르기까지 적용됐다”고 덧붙였다.

조병수 박사는 ‘성경을 향한 고통: 루터의 신약성경 독일어와 에라스뮈스의 신약성경 비교’란 주제의 강연에서 루터가 ‘9월 성경’을 번역하면서 무엇을 대본으로 삼았는지를 소개했다.

조 박사는 “루터는 네덜란드 신학자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를 의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며 “에라스뮈스의 ‘신약성경’(초판 1516년, 재판 1519년)에 수록된 헬라어 본문과 라틴어 번역 그리고 주해를 참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오래전부터 익숙한 불가타의 라틴어 본문을 머릿속에 새기고 있었을 것”이라고도 했다. 불가타는 새 라틴어 성경을 뜻하며, 코이네 그리스어(헬라어) 원문 성경을 5세기 초에 라틴어로 번역한 기독교 성경 번역본이다.

조 박사는 특히 루터의 ‘9월 성경’ 중 갈라디아서를 불가타와 에라스뮈스의 번역본과 자세히 비교하며 “루터는 자구(字句) 번역이 아니라 의미 번역을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루터의 번역은 ‘쉬운 말’ 번역에서 한층 더 나아간 ‘쉬운 뜻’ 번역이었다는 의미다.

오늘날 성도들에게 9월 성경이 주는 의미는 뭘까. 류 박사는 “성령님이 루터 시대의 대중에게 독일어로 말씀하신 것처럼, 오늘날 한국의 성도들에게 한국어로 말씀하신다”며 “진리의 말씀을 읽고 듣고 전하는 일에 루터와 같이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박사는 “루터는 번역과정에서 ‘성경으로부터’ 고통을 당했지만, 사람들에게 일상 언어로의 성경 말씀을 열어주기 위해 ‘성경을 향한’ 고통을 기꺼이 맞아들였다”고 평가했다.

프랑스위그노연구소는 내년 2월 16일 ‘프랑스 위그노 전쟁’이라는 주제로 제7회 정례회를 갖는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