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22일 코로나19 대규모 유행이 오는 10~11월 다시 찾아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들과 백신을 맞은 이들에게 형성된 면역 항체의 지속성이 길어야 6개월 수준이기 때문이다.
정 위원장은 이날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설명회에서 “정말 제 예측이 틀렸으면 좋겠지만 한 번의 큰 파도가 남아 있다”며 이 같은 예측을 내놨다.
그는 “코로나19는 아마 이번 주 정도에 정점을 찍고 앞으로 서서히 감소할 것”이라며 “하지만 가을∼초겨울쯤 대규모 유행이 다시 찾아올 수 있다. 10~11월이 되면 모든 사람의 면역이 일시에 떨어지는 시기가 오게 돼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난 3월 정점을 찍은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지나가면서 약 1800만명이 코로나19에 걸렸다”며 “그때 앓으신 분들의 면역은 6개월 정도면 대개 마무리가 된다. 빠르면 9월, 늦어도 12월 사이에 우리 국민의 평균 면역 수준은 가장 낮게 형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8월 초에 맞은 4차 백신의 효과는 12월 정도까지밖에 가지 않을 것이고, 그 전에 맞은 사람은 (효과 유지 기간이) 더 짧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질병관리청도 수리모델링에 근거해 비슷한 예측을 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5만9046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 15일(6만2056명)보다 3010명 감소한 수치다. 전날 신규 확진자 수(11만944명)도 1주일 전 11만9546명보다 감소해 이틀 연속 감소세가 나타났다.
정 위원장은 “이번 유행이 감소세로 돌아서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방역상황을 지켜보며 정부에 자문과 권고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운 세포면역 수준을 알 수 없다”면서 “집계된 확진자 수보다 30% 더 많은 사람이 알게 모르게 감염돼 항체를 가졌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변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런 것들을 다 감안해도 한 번쯤의 큰 파도는 올 것”이라며 “그 전에 보건의료체계 강화, 현장 상황을 반영한 응급실 시스템 등을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코로나19가 앞으로는 제2의 독감과 비슷한 형태로 관리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위원장은 “독감은 국가에서 경보를 내리고 고위험군에 예방주사를 놔준다. 독감이 의심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의사들은 타미플루 등 치료약을 바로 처방한다”며 “병이 치료되면 넘어가고, 나빠지면 입원을 한다. 코로나19도 마찬가지 트랙으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감 입원 환자가 별로 없듯이 코로나19 입원 환자들이 지금처럼 이렇게 많을 필요가 없다. 코로나19가 많이 약해졌고 먹는 치료제가 생겼기 때문”이라며 “코로나19가 그런 방향으로 가기를 바라고, 실제로 가고 있는 것을 보면서 제2의 독감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