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무원 정원을 늘리지 않고, 부서별 칸막이를 최대한 없애겠다고 밝혔다. 현재 진행 중인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구조조정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의회 앞에 있는 세월호 기억공간 문제에 대해서는 시의회가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광화문광장 이전에는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오 시장은 2일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전임 시장 시절 산하 투자출연기관 정원이 2만명에서 2만9000명으로 약 9000명 늘었고, 서울시 공무원 정원도 늘었다. 방만한 경영했다는 점 부인할 수 없다”며 “제 임기 동안 공무원 정원을 하나도 늘리지 않겠다는 원칙 지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의미에서 모든 서울시 정책들이 교육, 복지 등 모든 모델에서 절약형으로 가야한다”며 “끊임없이 독려하면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공무원 조직의 ‘칸막이 주의’도 타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는 인허가 부서에서 관광 코스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한다. 한국에서는 이같은 주문이 어렵다”며 “아이 키우기 쉬운 서울 같은 경우도 여성가족정책실 뿐 아니라 한강사업본부나, 균형발전본부 등도 참여해야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투자출연기관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확정하되, 고용 안전성 최대한 존중하겠다”며 “꼭 필요한 3개 기관에만 한정해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3개 기관은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공공보건의료재단, 서울기술연구원이다. 현재 이들은 각각 평생교육진흥원, 서울의료원, 서울연구원으로 통폐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오 시장은 향후 주택정책실장을 시작으로 외부에서 측근들이 대거 들어올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소위 친위대가 많이 기용하겠다는 생각은 없다”며 “주택정책실장으로 들어오는 분도 공무원 조직과 화학적 결합이 안되면 (개방형) 확대의 장애사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서울시의회 앞에 위치한 세월호 기억공간 문제에 대해서는 “여론조사를 해보니 다수의 서울시민들이 광화문광장 내에 기억공간이 꼭 필요하냐는 의견에 대해 부정적”이라며 “가슴 아픈 사건에 대한 교훈을 잊어서는 잊지 않아야한다는 당위성이 광화문광장으로 지켜져야 할 필요는 없다. 시의회가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