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호재로 발생한 집값 상승분을 반납하는 모양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호재나 ‘패닉바잉(공황구매)’ 등의 영향으로 단기 급등했던 지역 집값이 특히 요동쳤다. 수도권 전반 집값 상승률도 2019년 수준으로 돌아갔다. 금리 인상이 거듭되고, 거래절벽이 장기화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
7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값은 0.12% 떨어져 2019년 6월(-0.11%) 이후 3년 1개월 만에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2019년 7월부터 지난 5월까지 무려 35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해 왔다. 지난 6월 –0.04%로 3년 만에 하락 전환하더니 한 달 만에 하락 폭을 크게 키웠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해 연간 상승률이 25.42%에 달했다. 이는 2002년(29.27%) 이후 최대 상승 폭이었다. 2월(2.32%)과 3월(2.38%), 6월(2.42%), 8월(2.50%), 9월(2.43%)에는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2% 중반에 달했다. 서울만 봐도 16.40%로 2006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이었다. 경기도는 이보다 높은 29.33%였고, 인천도 32.93%로 폭등했다.
그런데 올해 들어 이런 추세가 뒤집혔다. 경기도와 인천의 아파트값은 지난달 각각 0.15%, 0.38% 떨어졌다. 전달 각각 0.05%, 0.43% 하락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떨어졌다.
경기도에서는 특히 안양시 동안구(-2.27%)와 수원시 영통구(-2.26%), 화성시(-2.20%), 의왕시(-1.28%) 등의 아파트값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GTX 호재가 예상돼 집값이 급격히 올랐던 지역이다. 서울과 인천에서도 지난해 급등했던 지역의 내림세가 가파르다. 올해 1∼7월 서울시는 성북구(-0.30%), 인천시는 연수구(-0.50%)·남동구(-0.12%)·서구(-0.18%)의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현재 시장 분위기를 좌우하는 건 여전히 ‘거래 절벽’ 현상이다. 가격이 의미 있게 떨어지려면 후속 거래가 더 이어져야 한다. 하지만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076건(계약일 기준)에 불과했다. 경기도와 인천의 거래량도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거래가 완전히 막힌 상황에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급등했던 지역 위주로 집값이 조정됐다고 해석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