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상황에서 이준석 대표 복귀를 전제로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하태경 의원은 4일 “우리 당은 파국이 아니라 상생의 길로 가야 한다”며 조해진 의원과 함께 이 대표 복귀가 가능한 내용의 이른바 ‘상생 당헌 개정안’을 제안했다.
하 의원과 조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하 의원은 “젊은 당대표를 몰아내기 위해 명분 없는 징계에 이어 억지 당헌 개정까지 하려 한다”며 “이 대표 몰아내기는 당헌·당규와 법리적으로 아무런 명분도 정당성도 없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어 “우리 당은 이미 이 대표 징계를 궐위가 아닌 사고로 규정했다”며 “당대표가 다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 의원은 “파국 비대위가 아닌 상생 비대위 구성을 위해 조 의원과 저는 당헌 개정안을 제출한다”고 말했다.
이들이 발의하는 당헌·당규 일부 개정안에는 당대표가 ‘사고’ 상황일 시 대표직을 유지토록 하고 당무에 복귀하면 최고위원을 선임해 잔여 임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하 의원은 이 당헌 개정안에 대해 “이준석 컴백이 가능한 개정안”이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도 “윤리위원회 징계로 당대표의 직무를 정지 시키고 비대위 출범을 기회로 해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당대표 쫓아내는 것은 편법과 꼼수로 정적 제거하는 우리 정치사에 없었던 새로운 정치 공작 기법”이라며 “이런 일이 용인 되면 우리 당은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사태 수습을 위한 충정을 살펴서 전국위에서 원안대로 개정안을 의결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지난 3일 “당헌·당규상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하면 최고위원회라는 지도부가 해산하도록 돼 있다”며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준석 대표도 제명이랄까, 해임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 구성과 동시에 이 대표가 물러날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자 이 대표는 “끼리끼리 이준석을 욕하다가 문자가 카메라에 찍히고, 지지율이 떨어지니 내놓은 해법은 이준석의 복귀를 막는다는 판단”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국민의힘은 비대위 체제 전환에 필요한 당헌·당규 개정 등을 논의하기 위해 5일과 9일 상임전국위와 전국위를 각각 연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