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25)는 최근 전 남자친구 B씨에게 3년 만에 다시 만나자는 요구를 받았다. 이를 거절하자 B씨는 이전에 불법촬영을 한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했다. A씨는 전화번호를 바꾸고 이사도 했지만, 소용없었다. A씨는 결국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에 도움을 요청했다. 센터의 도움을 받아 A씨는 가해자를 고소했고, 현재 B씨는 검거돼 재판을 받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6일 개관 100일을 맞은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를 통해 이같은 디지털 성범죄 가해자 5명의 검거를 이끌어냈다고 19일 밝혔다.
검거된 5건은 여자친구와의 성관계 영상을 불법촬영해 유포하려던 사례와 게임 중 청소년에게 접근해 사진을 받아낸 후 유포 협박한 사례, 대학생 때 만난 후 3년 뒤 연락해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며 스토킹한 사례, 쇼핑몰 아르바이트 불법촬영 사진을 유포한 사례 등이다.
구체적으로 센터는 피해 접수가 들어온 건에 대해 채증, 고소장 작성, 경찰서 진술 지원, 법률‧소송지원 등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고, 경찰과 공조해 가해자 검거에 일조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피해자들이 관련 경험이 적다 보니까 센터에서 고소장 작성 등 여러 과정을 하나하나씩 다 도와줬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이뿐 아니라, 삭제 신고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1160개의 불법 촬영물을 삭제하는 등 수사‧법률‧심리‧치유 등 총 2637건을 피해자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했다. 지난 100일 동안 센터의 도움을 받은 피해자만 149명이다.
센터를 통해 지원을 받은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총 149명의 연령대를 보면, 20대가 50명(33.6%)으로 가장 많았고, 30대(28명), 아동·청소년(22명) 순이었다. 가해자 유형은 애인(189건), 채팅상대(189건), 지인(104건), 배우자(19건) 순으로,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범죄가 잦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피해 유형은 유포불안 545건, 불법촬영 348건, 유포‧재유포 313건, 성적 괴롭힘 139건, 스토킹 122건 순이었다.
서울시는 불법 촬영물 등을 빠르게 찾기 위해서 서울기술연구원과의 협업을 통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AI 삭제지원 기술’을 개발, 내년 상반기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가 개소 100일 만에 2600건 넘는 지원실적을 거둔 것은 그동안 이런 통합지원이 필요했다는 방증이라고 생각한다”며 “갈수록 신종 범죄가 확대 양상을 보이는 만큼, 서울시는 피해자 맞춤형 지원을 통해 디지털 성범죄로 고통받는 시민들이 빠르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