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총리 “소주성 설계자 홍장표 우리랑 안 맞아”…사퇴 압박

Է:2022-06-29 11:28
ϱ
ũ

文정부 경제수석 지낸 KDI 원장 거취 논란
‘나토행 반발’ 中에 “예의 아냐” 일침
MB 사면론에는 “고령이시다” 긍정적 입장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세종공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문재인정부 시절 임명된 홍장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과 관련해 “소득주도성장 설계자가 KDI 원장으로 앉아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사실상 자진 사퇴를 압박했다.

한 총리는 28일 세종 총리 공관에서 진행한 취임 1개월 기념 기자단 만찬에서 KDI 원장의 거취와 관련한 질문에 “바뀌어야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원장은 문재인정부 초대 경제수석이자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설계자로 알려져 있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한 총리는 “(홍 원장이) 우리(새 정부)하고 너무 안 맞다”고 지적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거취 논란과 맞물려 홍 원장에게도 자진 사퇴를 압박하는 뜻으로 해석된다.

치안감 인사 논란으로 사의를 표명한 김창룡 경찰청장의 거취에 관해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마치고 돌아온 후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총리는 “이 문제에 대해 확실하게 팩트 파인딩(사실 확인)을 하고, 그 기초하에 문책할 사람은 문책하고 (하는 생각을 대통령이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행정안전부의 경찰국 신설안에 대해선 “타당하다고 본다”며 “그 엄청난 조직이 청 조직으로 굴러가는데 거기에 대한 지원, 오케스트레이션(조율)이 없는 것은 행정조직 미비”라고 지적했다.

고물가 문제와 관련해 한 총리는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임금인상 요구로 이어져 다시 인플레가 일어나는 악순환을 일단 막아야 한다는 게 정부의 강한 생각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전기요금 인상도 이런 기대심리가 터를 잡지 않도록 하는 공공요금으로서의 최소한의 조치였다”며 “그런 차원에서 (국민의) 양해를 바란다”고 말했다.

외교 문제에 있어 한 총리는 중국이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에 반발하는 데 대해 “안보에 필요하면 가는 것이지, 중국이 하라 마라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한·중 관계는 서로에 이익이 되고 존중하는 방향으로 가져가야 한다는 게 정부의 원칙이라며 “중국이 경제적으로 불리한 행동을 한다 해서 이 원칙을 깨부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한·중 간 분업체계를 거론하며 “중국이 경제 보복을 할 가능성이 없다”면서도 만에 하나 사드 때와 같은 보복이 있을 경우 이런 원칙을 지키겠다고 역설했다.

오히려 다른 나라들과 연대해 국제적인 연합체를 갖고 중국에 대응하는 게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것보다 훨씬 합리적이라고 한 총리는 덧붙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집행정지를 계기로 사면론이 거론되는 데 대해선 긍정적 입장을 표했다.

한 총리는 “법치주의에 사람을 가리는 일은 있을 수 없지만 정상참작이라고 할까, 수형생활 등을 보면서 대외적 시각을 염두에 둬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고령이시고 그 형을 다 하시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