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지역의 교통사망사고는 주로 가을철, 시간대는 월요일 저녁시간대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낫다.
충남자치경찰위원회는 도내 교통사망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18일 밝혔다.
위원회가 충남도경찰청·충남도 데이터정책관실과 함께 최근 3년(2019~2021년) 도내 교통사망사고 빅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총 850명이 숨졌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는 연간 13명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5.6명뿐 아니라 전국 평균인 7.3명 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이는 충남의 도로연장 상태가 크게 열악하기 때문이라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시 지역은 천안 아산 서산 당진 논산에서, 군 지역은 예산 서천 태안에서 많이 발생했다.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계절은 가을철이었으며 요일은 월요일, 시간대는 오후 6~10시에 집중됐다. 전체사망자의 34.4%(247명)는 차대 보행자였으며 무단횡단은 43.3%(107명), 차도보행중은 40.9%(101명)였다.
주요 법규위반행위는 전방주시태만 등 안전운전의무위반이 가장 많았고 음주운전과 과속이 뒤를 이었다. 치사율은 과속에 의한 사고가 높았다.
차대 차 사고에서는 안전운전의무 위반 행위와 중앙선 침범이, 차대 보행자 사고는 안전운전의무 위반 행위와 과속이, 차량단독은 음주운전이 주요 원인이었다.
노인 교통사망사고는 전체 사망자의 절반이 넘는 51.04%(367명)를 차지했다. 노인보행자 사망사고는 40.6%(149명)였으며 사고장소 중 64.4%(96건)는 인도와 차도가 분리되지 않은 지역이었다.
어린이 사망사고는 9건이 발생했다. 77.8%가 보행중이었으며 사고 장소의 55.6%는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위원회는 기관별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실천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유형별·지역별·대상별 맞춤형 교통안전 교육과 주요 사고 요인 행위에 대한 단속, 과학기술 기반의 교통안전시설·환경개선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특히 향후 3년간 매년 15%씩 교통사망사고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도로별 안전시설물 설치 예산은 약 174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권희태 충남자치경찰위원장은 “올해를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원년으로 정했다”며 “교통 유관기관과 협업해 시설개선과 홍보·교육, 사고 요인행위 집중단속을 추진해 사망자수 감소와 교통문화지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