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내에서 발생하는 보행자 교통사고 중 노인(65세 이상) 보행자 사고가 어린이(12세 이하) 보행자 사고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산하기관인 경기연구원은 2016~2020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자료를 재분석하고, 노인·어린이 등 교통약자별 통행 특성에 따른 안전대책을 제시한 ‘교통약자를 위한 더 안전한 신도시 만들기’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2020년 도내 보행자 교통사고는 총 4만9221건이다.
인구 1만명당 발생 건수는 연평균 7.5건이다.
이 중 교통약자인 노인과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만 보면 노인 보행자 사고는 1만974건,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는 4278건이다.
인구 1만명당 연평균 발생 건수는 노인은 14.2건, 어린이는 4.6건이다.
보행자 교통사고를 도내 신도시로 한정해 분석하면 1기 신도시(분당, 일산, 중동, 평촌, 산본)는 4333건(인구 1만 명당 연평균 6.9건), 2기 신도시(판교, 동탄1·2, 한강, 위례, 운정, 회천·옥정, 광교, 고덕)는 2091건(인구 1만 명당 연평균 3.7건)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에서 1기 신도시는 노인 890건, 어린이 313건, 2기 신도시는 노인 334건, 어린이 300건이다.
이에 대해 경기연은 1995년 어린이 보호구역, 2007년 노인 보호구역이 각각 처음으로 도입된 상황에서 1980년대 후반 추진된 1기 신도시 사업, 2000년대 초중반 추진된 2기 신도시 사업이 안전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인구 1만명당 어린이 보호구역은 1기 신도시는 10.9개소, 2기 신도시는 6.1개소이며, 노인 보호구역은 1기 0.6개소, 2기 0.4개소에 불과하다.
특히 노인 보호구역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는 2015년 대비 2020년 1기 신도시 어린이 인구는 5.0% 감소, 노인 인구는 6.0% 증가와 2기 신도시 어린이 인구 9.2% 증가, 노인 인구는 15.9% 증가에서 보듯 교통 안전대책이 인구변화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경기연은 교통약자 보행 안전을 우선한 신도시 조성 추진 전략으로 도시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보행축을 우선 계획하고 도로 횡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보행 계획 수립, 교통약자별 특성을 고려한 도로 환경개선과 보호구역 운영, 교통안전시설 효율적 유지·관리의 지침 마련과 담당자 교육 등을 제시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