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일자리창출 및 경제살리기 시민모임은 21일 오전 10시 인천시청 본관 계단앞에서 ‘인천시의 국가도시공원 지정명분 사유재산에 대한 공원시설 지정절차 중단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인천 일자리창출 및 경제살리기 시민모임 최황규 운영위원의 사회로 열린 이날 집회에서
김완태 인천 일자리창출 및 경제살리기 시민모임 대표, 최병찬 인천 논현 33지구 지주조합 조합장, 이우연 인천 논현 33지구 협회 회장, 이기명 인천 논현지구 연합회장은 발언을 통해 “인천시가 보상 및 이주대책도 없이 졸속으로 추진하는 사유재산 침해행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이 우선”이라며 “인천시는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명분으로 사유재산에 대한 공원시설 지정절차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시는 한때 인천 남동구가 유원지 개발을 위해 용역을 추진한 레미콘공장 부지에 물류센터 건립을 위한 3차례의 이례적인 교통영향평가가 완료된 뒤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뒤늦게 지난달 2월 9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이를 강행 처리해 말썽을 일으켰다.
이들은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66의12번지 일대 준공업지역의 레미콘공장 부지에 들어설 친환경 첨단물류센터는 건립 후 상근직원 4000여명의 고용창출로 이어져 인천지역 경제살리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시가 준공업지역을 공원지역으로 바꾸기 위해 공원녹지기본계획 변경안과 공원시설 계획안을 인천시의회에 보내 의견청취를 거쳐 통과시키려고 하는 것은 주민들의 뜻과는 다르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인천시가 추진하는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해 굳이 사유지인 준공업지역을 공원지역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친환경 첨단물류센터가 들어서려는 레미콘공장 부지는 준공업지역으로 국가도시공원지정 예정면적 665만㎡ 중 겨우 1.2%에 불과한 7.9만㎡ 규모이고, 인천시가 공원지역으로 매입하려면 보상으로 부지매입 총예산 3581억원의 59.4%인 2126억원이 필요한데다 보상을 위한 재원대책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사유지인 레미콘공장 부지에 들어서려는 물류센터는 단순한 물류창고가 아니라 인근 소래습지공원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물류센터이고 첨단기술을 적용한 물류센터”라며 “1200억원을 들어 물류센터 옥상에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만들어 인근 일대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천시의 일자리창출이 시급한 상황에서 상근직원 4000여명의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물류센터는 오히려 인천시에서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은 “기업의 사유재산권을 침해한 인천시의 이중적인 행정행위로 신뢰를 해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면서 “남동구 논현동 66의12번지 일대 레미콘공장은 지난 40여년간 소음, 분진 등 지역 현안과제로 많은 정치인과 지방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못한 골칫덩어리였다”고 따졌다.
이들은 “인천시의회가 앞장서 인천지역 일자리창출과 지역경제살리기를 중요시하는 시민모임의 요구를 적극 수렴해 인천시에 대해 즉시 남동구 논현동 66의12번지 일대 준공업지역에 대한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 지정을 취소하고, 나아가 공원지역으로 지정하려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