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가 정부의 2050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중심의 에너지전환 가속화로 본격화할 대규모 투자를 대비해 선제 대응에 나섰다.
전북도는 수소산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을 위해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 전문가로 구성된 ‘전라북도 수소위원회’를 출범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라북도 수소위원회는 도 정무부지사를 위원장으로 당연직 위원과 위촉직 위원 15명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전라북도 수소산업 육성과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과 관련 시책의 수립·지원 등에 대한 사항을 심의한다. 또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2030 전라북도 수소산업 육성 발전 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과 대규모 국책사업을 발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도는 기업·대학·연구기관 간 유기적인 연계·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수소경제를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앞서 전북도는 2019년 ‘수소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하고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수소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전북에는 수소산업 관련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고 연구·개발 인프라도 갖춰져 있다. 여기에 전주시와 완주군이 국토교통부의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돼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더불어 도는 “탄소와 수소산업을 양 날개로 지역경제의 체질을 개선하겠다”며 국내 수소산업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혀왔다.
신원식 도 정무부지사는 “전북도의 수소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정부의 탄소중립 등 정책 여건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수소경제 이행을 위해서 전라북도 수소위원회가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