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물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2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다고 발표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물가 움직임에 상승 압력을 넣는 주요 요인을 무엇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유가의 상승세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확대한 점을 고려해서 물가 상승률을 상향했다”며 “이 사태가 어떻게 진전될지가 물가 상방 요인 중 가장 두드러진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은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3.1%로 전망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이 수치를 2.0%로 전망했는데, 약 3개월 만에 1.1%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재는 “이번 물가상승률 전망에는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 상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제도 포함됐지만, 전면전으로 치닫는 최악의 상황은 빠져있다”며 “다만 (양국이) 전면전으로 치닫게 된다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수급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국내 물가 상승으로 곧바로 이어질 수 있고, 또 서방 국가들이 경제 제재 강도를 높이면 세계 경제가 위축되면서 국내 수출이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상향됨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폭이 커질 수 있느냐는 질문엔 “원론적으로 보면 물가 오름세가 높아졌을 때 통화정책 대응의 필요성이 종전보다 더 커진다”면서도 “다만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는 물가뿐만 아니라 성장, 금융 안정상황 등을 함께 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높였다고 해서 기준금리 인상 횟수가 많아져야 한다는 기계적인 예상은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이 총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원화가 기축통화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데 대해선 “우리나라가 기축통화국 대열에 들 수 있겠냐 하는 문제는 이미 정치권에서 이슈화가 돼 버렸다”며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언급하기에는 시기상 적절치 않다”고 즉답을 피했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