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뜨면 바뀌는 방역 지침… “알아서 살라는 식”

Է:2022-02-09 18:31
:2022-02-09 23:20
ϱ
ũ

집중관리군 기준 시행 전날 바꿔
현장 의료진·전문가도 헷갈리는 규정
“명확한 지침 반복적으로 알려야”

9일 오후 경기도 군포시 휴마시스 군포공장에서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가 생산되고 있다. 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격변하는 코로나19 의료·방역체계에 현장 혼란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셀프 재택치료’ 대상자가 비대면 진료를 받으려면 일일이 동네 병·의원에 전화를 돌려야 할 판인데 정부는 집중관리군 기준을 두고 시행 전날 말을 바꿨다. 명확한 지침이라도 필요하단 지적이 나온다.

10일부터 건강 모니터링이 사라지는 재택치료 일반관리군 환자들은 몸 상태가 나빠지면 동네 병·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 상담센터에 전화해 비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문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료기관이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는지 개별 확진자가 파악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코로나19 검사·진료에 참여하는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1932곳의 명단은 공개돼있지만 이들이 모두 비대면 진료를 보는 건 아니다.

일반적인 동네 병·의원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는 기관 명단을 취합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때까진 지자체 운영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든지 병·의원 이곳저곳에 전화를 돌릴 수밖에 없다.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을 나누는 기준을 두곤 셀프 재택치료 시행 전날 촌극이 빚어졌다. 당초 60대 이상 고령자나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자를 집중관리군으로 분류한다고 밝혔던 정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돌연 후자의 표현을 수정했다. 팍스로비드를 이미 처방받은 사람 중 지방자치단체가 필요성을 인정한 자여야 한다고 말을 바꾼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당국자간 설명이 엇갈리기도 했다. 관련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는 현장 의견을 반영한다며 이날 오후 11시 보도참고자료를 내 이를 한 차례 더 수정했다. 결국 최종적으론 60세 이상과 더불어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자로서 지자체가 필요성을 인정한 자’가 집중관리군으로 인정받게 됐다.

8일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혼란은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의료·방역 수칙이 상당 부분 바뀌면서 이와 맞물린 구체적 조치들도 변경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전자출입명부와 QR코드다. 방역 당국은 중증·고위험군 위주로 추적 관리 체계를 개편한 상황에서 불특정 다수의 다중이용시설 이용자를 찾아내는 데 썼던 이들 수단의 활용 가치가 떨어졌다고 보고 있다.

현장에선 혼란을 줄여 줄 구체적 수칙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 광진구에 거주하는 김모(29)씨는 지난 5일 식사를 같이 한 직장 동료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음에도 이후 두 차례의 자발적 검사 끝에 확진될 때까지 보건소로부터 밀접접촉자 연락을 받지 못했다. 기초역학조사도 12시간가량 지나서야 이뤄졌다. 김씨는 “그나마 나는 젊은 축이니 이것저것 검색해서 알아봤지만 방치된 느낌을 버릴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도 지침이 보다 명확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일반관리군 대상 지침이 부족하다. 알아서 살라는 식”이라며 “보건소에 연락하라, 어디에 연락하라곤 하지만 전화를 안 받는데 어떡하느냐”고 꼬집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상황 자체가 급변하고 있어 불가피한 측면은 있다”면서도 “개인이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반복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경모 박민지 전성필 기자 ss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