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이 등장해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우려했던 부분이 또 터지고 말았다”며 “세계에 더 널리 진실을 알리자”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5일 SNS를 통해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을 대표하기 위해 (한복을) 등장시켰다고 하더라도, (중국은) 이미 너무 많은 ‘한복 공정’을 지금까지 펼쳐왔다”고 비판했다. ‘한복 공정’은 중국이 우리의 역사를 빼앗으려는 ‘동북공정’에 빗댄 말이다.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선 한복으로 보이는 분홍색 치마, 흰색 저고리에 긴 머리를 하나로 땋아 댕기로 장식한 여성이 등장해 오성홍기를 전달했다. 이는 사회 각계 대표, 56개 민족 대표 등이 참여해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이라는 퍼포먼스였다.

서 교수는 한복 공정의 사례로 베이징 동계올림픽 유치를 기념해 중국이 제작했던 홍보 영상 ‘얼음과 눈이 춤춘다’에서 한복을 입은 무용수들이 춤을 추고 상모를 돌리는 장면이 나오는 사실도 지적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 백과사전이 “한복은 한푸(漢服)에서 기원했다”라고 주장하는 점도 짚었다.
이외에도 상당수의 중국 누리꾼들이 SNS상에서 “한국이 한복을 훔쳐갔다”는 왜곡을 하고, 심지어 한국의 ‘갓’마저 중국의 것이라고 억지 주장하는 사례도 있다고 언급했다.
서 교수는 “우리가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상’이라는 진실을 전 세계에 더 널리 알려야만 한다”며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에 당당히 맞서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정확히 짚어주고,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더 널리 소개할 좋은 기회로 삼아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주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