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는 이집트와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수출 계약을 체결한 데는 문재인 대통령의 ‘빈손 전략’이 주효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달 19~21일 문 대통령의 이집트 방문 때 K-9 자주포 수출 계약이 불발되자 야권을 중심으로 ‘빈손 귀국’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그러나 이집트 방문 약 10일 뒤인 지난 1일 한·이집트 간 자주포 수출 계약이 최종 타결됐다.
문 대통령이 우리 측에 유리한 조건으로 계약을 맺기 위해 전략적으로 계약 체결 시점을 늦췄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성과 없는 순방이라는 정치권의 비판을 감내하며 국익을 위한 선택을 했다는 것이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페이스북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 36번째 글을 올리고 “대통령은 기업의 손해보다 차라리 빈손 귀국이라는 비판을 택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집트 방문 기간 K-9 자주포 수출 협상을 주도한 강은호 방위사업청장에게 “성과를 내려고 무리하게 협상에 임하지 말고 건전하게 협상하라”고 지시했다.

박 수석은 “대통령의 지시가 없었다면 방문 중 계약은 쉽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성과를 위해 기업은 훨씬 불리한 조건을 감수해야 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의) 선택은 기업과 대한민국의 국익이 돼 당당하게 귀국했다”며 “대통령의 선택이 빈손 귀국이라는 비판도 감수하겠다는 빈손 전략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협상 과정에서 수출 계약을 둘러싼 정부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소회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기업의 투자와 노력이 큰 것은 당연하고 치하할 일이지만, 이제는 수출 상대국의 요구가 산업 협력과 기술 이전, 금융 지원까지 다양하고 까다로워져서 범부처 차원에서 기업을 뒷받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출과 직접 관련이 없는 부처들까지 망라돼 대통령이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정부를 독려하지 않으면 어렵다”며 “이집트도 (계약 조건이) 한국의 대통령이 기업을 설득해 제시한 윈윈 조건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이 문 대통령의 수출 관련 발언을 공개한 것은 ‘기업 성과에 청와대 또는 정부가 숟가락을 얹고 있다’는 정치권 일각의 비판을 반박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앞서 방위사업청은 1일 이집트 현지에서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문 대통령은 “K-9 자주포로서는 최대 규모 수출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무기체계 우수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