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질적인 시내버스 운수종사자 난폭운전 문제를 겪는 충남 천안시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안전운전 문화 정착에 나선다.
천안시는 시내버스 디지털운행기록계(DTG)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운수종사자 1대1 상담 등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DTG는 1초 단위로 22개 이상의 운행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다. 이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면 시내버스의 과속과 급가속, 급정지, 급회전 등 위험 운전 행동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또 위험운전이 자주 발생하는 차량을 파악해 운수종사자들의 주기적인 운전습관 개선 교육이 가능해진다. 방지턱, 급회전이 불가피한 노선 등 도로환경이나 주변의 문제점을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시는 향후 DTG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회사·차량별 운수종사자 특성을 파악하고, 운수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대1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충남도·시내버스 3사와 협력해 다음달까지 시내버스 운행기록계 및 후방카메라와 연동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eDTG)도 구축하기로 했다.
eDTG는 운행기록계와 연동돼 속도·RPM·브레이크 정보를 운전자가 본인의 직접 운전습관을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화면에는 과속과 급가속, 급감속, 공회전 정보와 에코점수가 표시된다.
주행 시에는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본인의 운전습관 점수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모드가 가동되고, 좌·우회전이나 후진 시에는 카메라 모드로 자동 전환돼 사각지대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앞서 시는 지난달 29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천안지역 시내버스 3사의 6~11월 위험운전 현황 실태 발표, 향후 계획 논의 등이 이어졌다.
시내버스 3사에 대한 위험운전 평가 결과 6~7월까지는 3사 모두 ‘주의’ 또는 ‘위험’ 등급을 받았고, 8~11월에는 다소 개선된 ‘보통’ 등급을 받았다.
운수종사자들의 불친절·난폭운전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시 홈페이지 민원게시판과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서비스 개선을 요구하는 글이 잇따라 게시됐다.
관련 민원이 지속되자 시는 운수종사자들의 무정차·승차거부 등 1년간 3차례 처분을 받으면 운전자격을 취소하는 ‘삼진아웃제’와 시내버스 책임노선제 등을 도입했다. 책임노선제 도입 이후에는 관련 민원이 5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운 천안시 대중교통과장은 “새해에는 버스 난폭운전 등 서비스 불편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천안=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