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들이여 광주에서 꿈을 펼쳐라!’
광주지역 지자체의 청년 정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광주시와 자치구가 청년 창업과 일자리 마련을 위해 함께 동분서주하고 있다.
광주시는 “내년부터 소득 기준에 따라 월 최대 20만 원의 임차료를 지원하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과 청년을 새로 뽑는 소상공인에게 6개월간 인건비 50% 지원하는 ‘소상공인 청년 신규채용 지원제’ 를 전면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위한 학자금 이자 지원제 역시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방식으로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학자금 이자는 다른 지역에 주소지를 두고 있더라도 광주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면 지원받을 수 있다.
자치구의 청년 정책도 다양하다.
북구는 청년이 살고 싶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청년친화도시 기본조례’를 제정한 이후 청년정책위, 청년네트워크를 조직해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
전남대와 함께 오는 2023년까지 300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대학타운형 도시 재생 뉴딜 사업’도 청년 창업기반 조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지역상권 회복과 창업문화 활성화를 위해 청년·예비창업자가 저렴하게 입점하는 ’상생 상가’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남구는 만 19세 이상부터 45세까지의 청년이 구정 관련 활동에 참여할 경우 포인트를 적립하고 문화상품권을 지급하는 ‘청년 활동 점수제’를 도입했다. 청년들이 주도해 정책을 설계하고 실현하는 40명 정원의 청년 관계망도 가동 중이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과 함께 청년들이 교류하고 만남을 즐기는 소통공간 ‘청년와락’도 운영하고 있다.
이뿐 아니다. 시는 최근 5개 자치구와 청년 정책 통합과 효율적 추진을 도모하기 위한 ‘광주청년정책플랫폼’을 개설해 운영에 들어갔다. 청년 정책을 정무적으로 다루게 될 ’청년특보’도 신설하기로 했다.
광주시가 운영하는 플랫폼에서는 청년 맞춤형 정책정보를 소개하고 신청 절차를 안내하는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년들의 다양한 취·창업 지원과 함께 특화된 소통공간을 운영해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맞춤형 청년 정책을 제안받는다.
지역 청년들의 의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신설하는 청년 특별보좌관(청년특보)은 4∼5급으로 전문임기제 또는 시간선택제로 임용될 예정이다. 시는 행정부시장 직속 청년정책관과 위원회 등이 있으나 청년 정책 입안과정에서 청년이 소외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현재 공석 중인 정무특보와 함께 청년특보를 임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광주청년네트워크는 22일 이와 관련 성명을 내고 이 시장의 청년특보 신설을 적극 환영했다. 이 단체는 “시 개청이후 처음 청년특보가 신설된다는 것은 청년의 목소리가 행정에 보다 더 가깝게 전달될 수 있는 소통창구가 하나 더 생겼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를 통해 광주시정 전반에 청년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역동적인 조직 운영·청년 소통강화를 목표로 한 청년전담부서인 ‘청년정책과’를 행정부시장 직속의 ‘청년정책관’으로 승격 개편한 광주시가 특보를 새로 두는 것은 청년정책의 도약에 있어 전환점이 될 만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청년에게 광주의 미래가 달려 있다”며 “청년들이 광주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