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서초구 양재동 양곡도매시장 부지 이전 확정을 계기로 양재 일대를 인공지능(AI) 산업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 본격 조성한다.
서울시는 21일 특구 및 지구 지정을 통한 AI 산업 활성화, 기반시설 구축을 통한 AI 산업 생태계 조성, 주거 환경 개선을 통한 연구소 및 기업의 직주근접 효율성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양재AI혁신지구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서울시는 양재 일대를 지역특화발전특구 및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을 추진한다. 시는 지난 2017년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했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 등의 이유로 지정이 보류됐다. 이에 주거지가 있는 양재2동 일대를 제외하고 기업이 많은 양재·우면동 일대(286만㎡)로 대상지를 축소해 지구 지정을 재추진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AI 및 R&D 시설을 확충하거나 공공 핵심 자족 시설(앵커시설)을 만들 때 용적률·건폐율이 최대 150%까지 완화 적용돼 기업이나 연구소 유치 등이 용이해진다.
서울시는 특구 지정에서 제외한 양재2동 일대(94만㎡)에 대해선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이 밀집된 지역 특성을 바탕으로 시 차원의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에 나선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상지는 연말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구체적인 계획은 대상지 확정 후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양재 AI 혁신지구의 핵심 거점으로 AI 전문인력 양성과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AI지원센터’와 국내‧외 AI 기업, AI 대학, 연구소가 집적된 ‘양재 AI·R&D 캠퍼스’를 건립한다. 캠퍼스는 2024년 이전 예정인 양곡도매시장 부지에 지어진다. 아울러 시는 직주근접 환경 조성을 위해 캠퍼스 내 레지던스·특성화 주택 300여 세대도 공급한다.

이와 함께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역삼역(2호선), 종로3가역(3호선)에 의원·약국을 한 번에 이용할 수 있는 ‘메디컬존’을 조성한다고 이날 밝혔다.
공사는 이달 중으로 역삼역 지하 1층 395.02㎡와 종로3가역 지하 2층 248.9㎡를 메디컬존으로 일괄 운영할 사업자를 공개 모집한다. 이후 사업자가 모집되면 구체적인 계획을 확정한 뒤 내년 6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메디컬존이 의료서비스 공백 시간에도 시민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지하철역에 들어와 있는 의원이나 약국의 경우 저녁과 공휴일 등에도 운영을 하는 추세”라며 “들어오려는 의사들도 그런 방향으로 의향을 가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