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 내에서 과장급 이상 간부에 대한 신임 투표 성격인 ‘닮고 싶은 상사(이하 닮상)’ 투표 결과를 두고 부내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공무원노조 기재부 지부가 주관하는 닮상 투표는 무보직 서기관 이하 모든 직급이 부내 닮고 싶은 상사와 ‘닮고 싶지 않은 상사(이하 안닮상)’를 국장급 이상 2명, 과장급 4명씩 각각 적어 그중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사람들을 추려내는 식으로 치러진다.
올해 투표는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치러졌다. 결과는 13일 공표 예정이지만, 이미 내부에서는 올해 닮상과 안닮상에 꼽힌 인사의 명단이 돌았다. 올해까지 세 번 닮상에 꼽혀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는 간부가 있는 반면, 2년 연속 안닮상에 꼽혀 속앓이하는 간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닮상 투표는 재경부 시절이던 2004년 처음 시행돼 올해로 18년째 이어졌다. 기재부의 한 과장급 공무원은 12일 “닮상 결과가 인사고과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 평판을 고려하면 신경 안 쓸 수가 없다”며 “투표를 앞두고 예전에 같이 일했던 직원이나 후배들에게 밥이라도 한 번 더 사게 된다”고 말했다.
닮상 투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일부 나온다. 한 고위 간부는 “요새는 간부도 직원 눈치를 안 볼 수 없어서 옛날 같은 ‘악당’ 간부가 잘 없다. 그러다 보니 안닮상도 매번 뽑히는 사람들이 뽑힌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간부도 “3번 뽑히면 투표 대상에서 제외되는 닮상과 달리 안닮상은 제한이 없어서 오히려 개선 의지를 꺾는 측면도 있다”고 귀띔했다.
기재부 출신 고위 인사들의 하마평에도 닮상 이력이 줄곧 따라붙는다. 기재부 출신인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 임재현 관세청장 모두 닮상에 세 번 선정된 명예의 전당 멤버다. 2014~2015년에는 현직 장관이던 최경환 전 부총리가 닮상에 2년 연속 선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기재부 수뇌부는 닮상과 인연이 없었다. 홍남기 부총리와 이억원 1차관, 안도걸 2차관 등 ‘톱3’ 모두 한 번도 닮상에 선출된 적이 없다. 기재부 노조는 2018년부터 장·차관은 투표 대상에서 제외하되, 장·차관 업무평가를 닮상 투표와 함께 진행하고 결과를 비서실에 전달해왔다. 기재부의 한 공무원은 “부총리와 두 차관 모두 ‘워커홀릭’으로 정평이 난 데다 홍 부총리 임기도 3년 차에 접어들면서 내부 피로감이 커 올해 평가 결과가 좋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