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21일 ‘공공장소에서의 헤어롤? 그들이 머리하는 방식일 뿐’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며 한국에서 ‘헤어롤’이 세대 구분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NYT는 서울의 카페, 식당, 대중교통, 거리 등에서 젊은 여성들이 앞머리에 헤어롤을 하고 다니는 모습을 쉽게 살펴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젊은 세대들이 독립적이고 남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는 특징을 반영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과거에는 헤어롤을 하고 공공장소에 나타나는 것이 적절치 못한 행동으로 여겨졌으나 요즘의 젊은 여성들은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는 설명이다.

해당 기사에서 20대 대학생 정모씨는 “약속 장소에 도착해서 모습이 중요하지, 가는 길에 지나치는 사람에게 어떻게 보이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나한테 소중한 사람들에게 잘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학생 자녀를 둔 50대 이모 씨는 “우리가 젊었을 때는 머리 모양을 유지하려고 롤을 말고 다니는 대신 스프레이를 잔뜩 뿌렸다. 이것도 당시 기성세대는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라며 헤어롤에 대한 인식이 변했다고 전했다.
NYT는 “과거 한국 여성들의 꾸밈은 사적이고 남성의 시선을 숨겨야 하는 행위로 여겨졌다”며 “하지만 젊은 여성들은 이제 주변의 시선을 그리 신경쓰지 않는다”고 전했다. 기성세대는 아직 헤어롤을 공공장소에서 하고 다니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한다며 헤어롤이 세대를 구분하는 상징이 된다고 설명했다.
NYT는 또 일반인 여성뿐만 아니라 연예인, 가수 등 유명인들 또한 행사를 기다리거나 이동할 때 헤어롤을 한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천현정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