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진자 비중이 연일 전국의 8할가량을 차지하면서 이 지역 중등증·중증 치료 체계가 임계점으로 치닫고 있다. 비수도권 병상을 활용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고, 병상 동원 행정명령은 미봉책에 머무는 상황이다. 정부는 재차 개인의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를 호소하고 나섰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7~13일 전국의 중환자 병상 평균 가동률이 56%로 나타나 전주 대비 9.4% 포인트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수도권 가동률은 69.5%로 비수도권(34.9%)의 두 배에 달했다.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도 일주일 만에 5% 포인트 넘게 올랐다.
병상 소진 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의 78%가 가동 중이었다. 경기도로 한정하면 이 수치는 85.1%까지 높아졌다.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도 서울과 인천에서 각각 78.6%, 78.5%로 나타나 앞서 비상계획 실시 기준 중 하나로 제시된 75%를 이미 넘겼다.
정부가 지난 5일과 12일 차례로 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닌 데다 진행 속도 역시 더디다. 코로나19 치료에 집중하는 동안 다른 환자들의 진료에 차질을 빚는 ‘부수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병상 가동 준비를 마치는 데 통상 4주 이상 필요해 실제 확충 효과는 다음 달 초나 돼야 가시화할 전망이다.
수도권 환자를 비수도권에서 소화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중증도가 높을수록 이송 난도가 급격히 올라간다. 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ECMO) 등의 장치를 달고 있는 위중증 환자를 옮기려면 특수 구급차 등 각종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과거 대구처럼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수도권 확진자를 비수도권으로) 보내야 할 것”이라며 “인접 지역이라면 몰라도 권역을 뛰어넘어 몇 시간씩 이동하긴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성남시의료원 등 경기도 소재 거점전담병원에 입원한 중환자들을 충청권 이남으로 옮기는 한편 이송 체계를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이창준 중앙사고수습본부 환자병상관리반장은 “수도권 중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이송하는 시스템, 상급종합병원과 거점전담병원 간의 전원 시스템 등 근본적인 이송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 조치를 일시적으로 다시 강화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내에서도 의견이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기본방역수칙 준수를 연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권덕철 중대본 1차장은 이날 “일상회복의 전제조건이 지켜지지 않으면 정부와 의료계가 아무리 노력해도 버티기 어렵다”며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13일 방역 수칙 위반과 관련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종로구에 과태료를 냈다. 김 총리는 그보다 사흘 앞서 대학 동기 등과 함께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을 넘겨 식사했다가 입길에 올랐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