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최근 국내 경제에 대해 ‘대면 서비스업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써 정부는 경제 상황과 관련해 4개월 연속 ‘불확실성’을 언급했다. 최근에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공급망 대란 등으로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달 물가상승률이 기저 효과로 인해 3%대를 기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도 했다.
기획재정부는 15일 발간한 ‘10월호 경제 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대면 서비스업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코로나19 4차 확산 직전인 지난 6월 그린북에선 ‘내수 부진 완화’ 등 긍정적으로 표현했으나, 7월부터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을 언급, 이후로도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김영훈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브리핑에서 “지난달과 달리 이번에는 내수의 전반적 불확실성이라기보다 대면 서비스업 등으로 다소 한정을 시켰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대외적으로 글로벌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공급망 차질 등으로 회복 속도 둔화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했다. 김 과장은 “코로나19 4차 확산의 영향이 조금씩 잦아들면서 내수 측면의 불확실성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대외적 불확실성은 조금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달 3%대 물가 상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지난해 통신비 할인에 따른 기저효과, 국제 유가 및 환율 상승 등의 영향이다. 김 과장은 “10월 물가는 (통신비 지원 등에 따른) 기저 요인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 “국제 유가의 오름세, 환율 상승 등 세 가지 요인을 고려하면 상방 압력이 높다”고 했다.
통계상으로는 경기는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국내 카드 승인액은 전년 대비 8.8% 늘며 8개월 연속 증가했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3.8로 전월보다 1.3포인트 올랐다. 고용은 지난달 취업자가 전년보다 67만1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2.7%로 0.9%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소비자물가는 석유류와 개인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 올랐다.
8월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각각 0.7%, 0.6%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6% 증가했지만,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각각 0.8%, 5.1%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은 반도체, 석유화학 등을 필두로 전년 동월 대비 16.7% 증가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