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에서 코로나19 백신 오접종 사례가 272회 발생했음에도 피해 보상은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백신 오접종 사례는 지난달 27일 기준 272회에 달한다.
사례별로 보면 ‘접종용량 오류’가 194건(71.3%)으로 가장 많았고, ‘백신 종류 및 보관 오류’ 63건(23.2%), ‘접종 시기 오류’ 10건(3.7%), ‘대상자 오류’ 5건(1.8%) 순이었다.
오접종은 주로 질병청이 백신 접종을 허용한 위탁의료기관에서 벌어졌다. 오접종 사례의 98.5%에 달하는 268건이 위탁의료기관에서 나왔고 보건소 3건, 예방접종센터가 1건을 기록했다.
백 의원은 “의료기관 과실로 오접종이 발생했을 때, 피접종자(보호자)는 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으며, 절차를 거쳐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다”면서 “하지만 질병청의 오접종 이상반응 관련 부서는 실태 파악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질병청이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 오접종 피해보상 현황은 단 한 건도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질병청은 오접종 의료기관에 대한 관리를 지자체 소관이라며 미루고 있다. 오접종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조치도 관할 보건소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껏 백신 오접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위탁계약을 해지한 의료기관은 전국적으로 14건밖에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전국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오접종 2014회
전국적으로는 2014건의 오접종 사례가 접수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94회로 가장 많았고 서울 332회, 부산 272회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대구(133건), 전북(106), 울산(103), 강원(102) 등이 세 자릿수의 오접종을 기록했다.
백신별로는 화이자가 1100회로 가장 많았고, 아스트라제네카 557회, 모더나 295회, 얀센 62회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 기준 접종 7일 후 보고된 오접종 건수는 총 1873회이며 그 중 이상반응 건수는 총 166건(8.86%)으로 확인됐다.
백종헌 의원은 “오접종 피해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이상 반응 통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질병청 모습이 안타깝다”면서 “당장 이상 반응이 보이지 않는다며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아무런 과실이 없다는 듯 적극적인 조처를 하지 않는 모습은 상당히 무책임하다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어 “적어도 오접종자들에게는 국가가 제대로 관리하고 처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