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공작원들이 1990년대 초반 청와대에 잠입해 수년간 근무하다 복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수십년간 북한의 정보기관에 몸 담았다는 탈북자 김국성(가명)씨는 이외에도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 암살 목적 태스크포스(TF)팀 구성,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천안함 폭침 지시 가능성 등에 대해 언급했다.
BBC는 11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이 담긴 김씨와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BBC는 김씨에 대해 “30년 동안 북한의 첩보기관에서 ‘지도자의 눈과 귀, 두뇌’ 역할을 하면서 최고위층에 올랐다”며 “2014년 탈북해 현재 서울에 살면서 한국의 정보기관에서 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BBC는 “그가 증언한 내용을 전부 검증하진 못했지만 신원에 대해선 확인했으며 일부 주장에 대해선 확실한 증거를 찾았다”고 덧붙였다.
김씨는 북한이 ‘남조선의 정치적 종속’이라는 대남 전략을 세우고 청와대에 공작원을 침투시킨 사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990년대 초반 북한에서 보낸 공작원들이 5~6년간 근무하고 무사히 북한으로 복귀했었다”며 “공작원들이 남한 구석구석 주요기관은 물론이고 시민사회단체 여러 곳에서 맹활약을 했다”고 말했다.
최근엔 6000명에 육박하는 해킹요원들을 통해 한국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김씨는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은 1980년대 사이버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인력에 대한 훈련을 명령했다”며 “모란봉대학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해 6년간 특별교육을 시켰다”고 말했다.
BBC는 “영국의 안보관계자에 따르면 ‘라자루스 그룹’이란 북한의 해킹부대가 2017년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를 포함해 전 세계 여러 기관을 무력화시킨 바 있다”며 “2014년 미국 영화사 소니 픽처스를 해킹한 집단도 같은 부대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망명했던 황 전 비서를 암살하기 위한 TF팀을 직접 지휘했다고도 주장했다. 김 위원장이 2009년 집권을 앞두고 자신이 ‘강인한 전사’라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대남공작 기구를 정찰총국으로 확대 개편하고 망명 관리들을 공격하기 위한 시도를 벌였다는 것이다.
그는 “김정은이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 김정일을 만족시키기 위해 벌인 행동이었다”며 “극비리에 황장엽을 암살하기 위한 TF팀이 꾸려졌고 내가 직접 지휘했다”고 설명했다.
이듬해 벌어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의 지시 없이는 실행 불가능한 작전”이라고 단언했다. 김씨는 “북에선 도로 하나 건설하려 해도 최고지도자의 승인이 없으면 안 된다”며 “이런 작전은 충성 경쟁으로 벌일 수 있는 일이 아니고, 김정은의 특별 지시에 의해 실행된 군사 작전이자 성과”라고 했다.
그는 “해당 작전에 직접 관여하진 않았지만 정찰총국 내부에선 비밀로 취급되지도 않고 자랑할 만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덧붙였다.
김씨는 북한이 ‘혁명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마약을 유통해 달러를 벌어 들이고 장기간 내전을 겪고 있는 시리아, 미얀마, 리비아 등에 무기를 판매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재차 인식해야 할 것은 북한은 지금까지 0.01%도 바뀌지 않았다는 사실”이라며 “북녘 동포를 독재의 억압에서 해방하고 참다운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터뷰에 응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국가정보원은 “탈북민 신상 및 주장에 대해 확인해 줄 내용이 없다”면서도 “다만 ‘북 공작원 90년대초 청와대 5~6년 근무’ 관련한 내용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