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오래 살려면 근육 운동 꾸준히 해야

Է:2021-10-08 12:15
ϱ
ũ

근육량 적은 비만 환자, 위암 수술 후 장기 생존율 낮아

위암수술 장면. 국민일보DB

위암 수술 후 오래 살려면 근육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근육량이 적은 비만 환자일수록 위암 수술 후 장기 생존율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 김형일 교수와 캐나다 유니버시티 헬스 네트워크(UHN) 연구팀은 체성분에 따른 위암 환자의 장기생존율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미국 종양외과학회지(Journal of Surgical Onc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같은 키와 몸무게를 갖고 있더라도 체성분의 구성에 따라 수술 난이도와 수술 후 생존율이 다르다. 비만인데 근육량이 적은 사람은 정상 환자에 비해 복부 지방으로 수술이 어렵고, 근육량이 적어 수술 후 회복도 오래 걸린다. 환자의 수술 후 경과, 수술 과정, 합병증 등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수술 전 체성분을 분석한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촬영된 위암 환자 840명의 CT영상에서 체성분을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분석했다. AI 분석 시 몸의 체성분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로 알려진 3번째 허리뼈 위치의 영상을 이용했다.
체성분에 따른 장기생존율 비교를 위해 분석된 결과 중 근육량과 지방을 기준으로 정상(235명), 비만(486명), 근감소증(71명), 근감소성 비만(48명) 4가지 타입으로 구분했다.

연구팀은 4가지 타입으로 구분된 각각의 분류군이 위암 수술 후 실제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근감소증이 있는 경우와 비만만 있는 경우에 비해 근감소성 비만이 있는 환자군에서 생존율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근감소성 비만이 없는 환자군에서는 5년 생존율이 90%인 반면 근감소성 비만인 환자군에서는 5년 생존율이 75%로 낮았다.

이 차이는 1기 또는 2기 위암인 경우에도 계속 유지됐다. 근감소성 비만이 없는 1~2기 위암 환자군에서는 5년째 위암 수술 후 장기생존율이 95%가 넘는 반면 근감소성 비만인 환자군의 경우 수술 후 5년 후 생존율이 83%였다.

김형일 교수는 “평소 적절한 근력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위암 수술 후 장기 생존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