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소에서 ‘모유 수유 서약’을 하라고 강요받고 이를 거절하자 이상한 사람 취급당했다는 사연이 공개돼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6일 오후 누리꾼 A씨는 트위터에 “지인이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을 하러 갔다가 불쾌한 일을 당했어요”라며 글을 올렸다.
이어 “모유 수유 서약이라는 걸 하라고 해서 동의하지 않는 내용이라 서명하지 않겠다 하니 유난 떠는 사람 취급을 받았다”면서 “2021년이 맞는지, 떨어지는 출생률을 바로잡을 생각이 있는 나라가 맞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A씨는 해당 글과 더불어 지인 B씨와 나눈 카카오톡 대화 캡처를 공개했다. 공개된 대화에는 B씨가 “저는 모유 수유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아니고 제 선택이라고 생각해서 여기 동의를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래서 서명하지 않겠다니까 기분 나쁜 내용도 아니고 캠페인인데 그냥 쓰라는 거다. 내용이 불쾌하고 동의하지 않아서 쓰지 않겠다니 왜 불쾌할 내용이냐며 그냥 캠페인이니 쓰라고 하더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B씨는 “안 쓴다고 하고 나머지 서류 접수를 했는데 그 이후로 엄청 싸한 분위기로 끝났다”면서 “저는 저게 여성에게 너무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당시 느꼈던 감정을 전했다.
B씨가 A씨에게 찍어 보낸 ‘모유 수유 서약’이라는 문서에는 ‘나는 모유 수유할 것을 약속합니다’, ‘나는 모유 수유의 중요성을 알고 건강한 아이로 키울 것을 약속합니다’, ‘나는 출산 후 직장에 복귀하더라도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약속합니다’라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이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대부분 부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건강에 좋으니 권장하는 것까지는 이해하지만 서약서라는 방식이 최선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모유 수유는 산모의 권리와 자유다”, “나도 아이 낳고 모유 수유했지만 이런 서약서를 받으면 기분 나쁠 것 같다”, “충격적이다”, “공공기관에서 왜 이런 캠페인을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모유 수유 안 한 엄마들에게 죄책감 느끼라고 하는 건가” 등 비판이 쏟아졌다.
특히 ‘출산 후 직장에 복귀하더라도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약속합니다’라는 서약서 세 번째 항목에 대해 이해가 안 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직장에 복귀하더라도 모유 수유 약속? 이게 얼마나 고통스럽고 번거롭고 힘든 일인데”, “회사에 수유실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모유 수유를 어떻게 하냐”, “직장생활 하면서 모유 수유가 말이 되냐”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실적인 여건은 전혀 받쳐주지 않는데도 마치 여성의 의지만 있으면 모유 수유를 지속할 수 있다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해당 서약서 항목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서울 25개 보건소 중 일부가 수년 전부터 임산부에게 모유 수유 서약서 작성을 권고하고 있다. 임산부에게 모유 수유를 홍보하기 위한 취지로 서울 외에도 여러 지역의 보건소에서 이와 같은 서약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노혜진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