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군대 내 부조리를 다루며 시선을 사로잡은 넷플릭스 드라마 ‘D.P.’에 정치권도 발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에 이어, 국민의힘 대권주자 홍준표 의원도 “젊은이들을 징병의 멍에에서 풀어줘야 한다”며 ‘D.P.’ 열풍에 가담했다.
홍준표 “모병제, 지원병제 전환 검토 공약”

홍 의원은 6일 페이스북을 통해 “넷플릭스를 통해 드라마 D.P.를 봤다”며 “군내 가혹행위를 주제로 다룬 드라마인데 픽션이지만 군내 가혹행위가 아직도 없다고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군부대에서 방위소집을 1년 6개월 경험해봤다. 고참들의 가혹행위는 그때도 참 심했다”며 “군부대 출퇴근하면서 방위라고 군인 대접도 못 받고, 매일 고참들한테 두들겨 맞고 하루종일 사역하고 군기교육대 들어온 사병들과 봉체조 하기가 일쑤였다”고 했다.

홍 의원은 “나라를 지키려고 간 군대에서 우리 젊은이들이 그런 일을 당한다는 건 참 가슴 아픈 일”이라며 “일당백의 강군을 만들기 위해 모병제와 지원병제로 전환을 검토한다고 공약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젊은이들을 징병의 멍에에서 풀어줄 때가 이젠 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그런 공약을 한 것”이라며 글을 맺었다.
이재명 “야만의 역사부터 끝내는 것이 MZ정책”

이 지사도 앞서 이날 D.P.를 보고 “최근 전기드릴로 군대 내 가혹행위가 이뤄졌다는 뉴스에서 볼 수 있듯 현실은 늘 상상을 상회한다”며 “악습은 그렇게 소리 없이 이어져 왔다”고 소감을 남겼다.
그는 “청년들 절망시키는 야만의 역사부터 끝내는 것이 MZ정책”이라며 “가혹 행위로 기강을 유지해야 하는 군을 강군이라 부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 지사는 “청년들이 자신을 파괴하며 ‘뭐라도 해야지’ 마음먹기 전에 국가가 하겠다”며 “모욕과 불의에 굴종하는 군대, 군복 입은 시민을 존중하지 않는 세상 반드시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청년들께 미안하다. 백 마디 말보다 한 번의 행동으로 보이겠다”며 “그때서야 비로소 청년들 앞에 당당히 설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국방부 “병영환경이 바뀌어 가고 있다”

2030세대에서 큰 반응을 얻고 있는 D.P.에 대해 국방부는 예전처럼 가혹행위를 은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으며 에둘러 불편한 시선을 드러냈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군 관계자가 (드라마 배경이 된) 2014년의 일선 부대에서 있었던 부조리라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국방부 공식 입장이냐’라는 질문에 “병영환경이 바뀌어 가고 있다”고 답했다.
문 부대변인은 “지금까지 국방부와 각 군에서는 폭행, 가혹행위 등 병영 부조리를 근절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병영혁신 노력을 기울여왔다”면서 “일과 이후 휴대전화 사용 등으로 악성 사고가 은폐될 수 없는 병영환경으로 현재 바뀌어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D.P. 한국 이어 베트남, 대만 등에서 인기

넷플릭스가 지난 27일 공개한 D.P.는 군 헌병대 군무 이탈 체포조(DP, Deserter Pursuit)의 탈영병 추격기를 다루고 있다. 드라마 속에서 폭력과 가혹행위 등 부조리를 견디지 못하고 병사들이 탈영하는 과정이 사실적으로 묘사됐다.
D.P.는 “군 생활 다시 하는 것 같았다”는 호평과 함께 현재 한국을 비롯해,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대만, 태국, 일본 등에서 순위권에 오르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D.P’ 본 이재명 “청년들께 미안…야만의 역사 끝낼 것”
▶[단독] ‘D.P. 속 악덕 점주’ 편의점, 방송금지 법적 대응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