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과학수도 대전’ 지정, 충청권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지정 등 16개의 미래발전 전략과제를 발표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전략과제를 발표하고 “과학으로 특화한 대전이 충청권을 넘어 더 좋은 대한민국을 주도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선 공약화를 위해 만들어진 이번 과제들은 대전의 정체성이자 브랜드인 ‘과학 분야’, 시대적 어젠다인 ‘초광역 분야’, 대전만의 독특한 강점을 살린 ‘대전 특화 분야’의 3대 핵심전략으로 구성됐다.
허 시장은 “시는 지난 3월부터 공약과제 발굴을 위해 행정, 과학부시장 중심의 TF팀을 운영했다”며 “대전세종연구원과 5개 자치구,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최종 3개 분야 16개 전략과제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과학 분야는 과학수도 대전 지정, 충청권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구축, 우주국방 혁신클러스터 조성 등 3개 과제가 담겼다.
초광역 분야에는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대전~세종 제2순환 고속도로 건설, 중부권 그린뉴딜 3대 프로젝트, 충남~대전~충북(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건설, 중부권 메가스포츠 콤플렉스 조성,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회덕JCT~서대전JCT) 사업 등 6개 과제가 포함됐다.
대전 특화 분야에는 대전현충원 연계 국가대표 메모리얼파크 조성, 청(廳) 단위 등 중앙행정기관 정부대전청사 집적, 디지털 그린 대전산단 재창조, 대전 도심구간 경부·호남선 철도 지하화, 조차장역 레일스카이 복합단지 조성, 전국 지방의회 중앙연수원 건립, 소상공인 전문연수원 건립 등 7개의 전략과제가 담겼다.
시는 각 정당에서 후보자가 최종 선정될 때까지 과제의 완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향후 각 정당·후보자 캠프에 방문 설명 등을 통해 알리는 한편 민·관·정 협력 강화를 통해 후보들의 공약으로 만드는데 중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허 시장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과학도시로서 대전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며 “각 사업들은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주도할 첨단과학기술 기반 산업 육성을 통해 ‘과학으로 잘사는 미래도시’로의 도약에 역점을 두고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은 코로나19의 터널에 있지만 시민들이 활짝 웃는 일상으로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면서 “모은 힘을 응집해 앞으로 대한민국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강하고 위대한 미래도시 대전을 시민 모두와 함께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