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 지역에서 역사바로세우기 차원의 친일잔재 뿌리 뽑기가 이어지고 있다. 국권침탈에 협조한 친일인사 행적과 현존 잔재물에 대한 제보가 잇따른다.
광주환경공단 김강렬 이사장은 광복절 76주년을 맞은 15일 ‘토착 왜구들의 본산. 본토 왜구와 그 후손들’이라는 제목의 책을 펴냈다고 밝혔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왜구들의 침략’이라는 부제를 단 이 책은 일제 침략으로 맺게 된 1910년 한일합병 이전까지 조선왕조실록을 토대로 한다. 이완용 등 을사오적과 다수의 친일 인사, 당시 일본 고관대작들이 고종·순종으로부터 ‘훈장’을 타면서 국고를 축낸 경위 등을 담고 있다.
김 이사장은 “훈장을 받은 이들은 일본 천왕부터 친일인사 등 고위·하위 관리 939명으로 1400여 개의 훈장을 억지춘향식으로 받았다”며 “최고 훈장인 대훈-이화대수장의 경우 당시 일본 순사 월급 50년 치에 해당하는 ‘곰솥’을 함께 줘야 했다”고 설명했다.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김 이사장은 “역설적이지만 일본 시민단체와 교류해온 경험을 밑천 삼아 일본의 한반도 침략사를 정리하면서 우리 역사를 더럽힌 이들의 후손이 아직도 건재하고 현재 일본 사회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인 심정섭씨(78)는 지난 12일 일제 강점기 당시 영·호남 일부 계층이 도 평의원 출마를 위해 일제에 충성을 맹세하고 받은 추천장 등을 지방 일간지 ’광남일보’에 제보했다.
심씨가 공개한 친일인사 자료는 1930년 장흥에 살던 박희중과 같은 시기 경북 상주에서 출마한 박정현 등이 일본인들이 서명한 연서를 받아 선거에 출마한 문서다. 추천장 7장과 출마인사장 3장, 당선인사장 1장 등 11점이다.
일제는 1919년 3·1운동 이후 군대를 동원한 ‘무력’으로만 원활한 통치가 어렵다고 판단해 조선인들을 회유하는 이른바 ‘문화정치’로 선회했다. 헌병 경찰제를 보통 경찰제로 완화하고 친일인사들을 각종 선거에 출마·당선시켜 우회적 식민통치를 시도했다.
1920년 7월 29일 공포한 ‘조선도지방비령’을 통해 임기 3년의 도지사 자문기관인 도 평의회를 신설하고 집회의 자유 등을 일부 허용하기도 했다. 이런 틈을 타 출세에 눈이 먼 일부 인사들은 동포를 수탈해 일제에 다양한 상납을 하고 충성 맹세와 함께 선거에 출마했다.
2019년부터 전국 최초로 친일인사 ’단죄문’을 설치하기 시작한 광주시는 관련 사업을 계속할 방침이다. 시는 제76주년 광복절을 앞둔 지난 11일 전남방직 내 김용주 동상 인근에 일제 식민통치 잔재물 단죄문 제막식을 개최했다.
시는 2019년 3곳 8개에 이어 2020년 6곳 21개의 단죄문을 각각 설치했으며 올해도 6곳에 단죄문·안내판을 설치한다.
친일 인사들이 작사 작곡한 광주지역 일선 초·중·고의 교가 청산작업도 활발하다. 현재 13개 학교가 교가를 바꿨으며 욱일기 형상의 휘장도 17개교가 교체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방의회 차원의 친일 청산작업도 활발하다. 조석호 시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 4)이 대표 발의한 ‘광주광역시 친일잔재 조사 및 연구 활동 지원 조례안’과 ‘광주광역시교육청 친일잔재 청산 지원 조례안’이 공포·시행됐다.
두 조례안은 친일잔재 청산 사업 진행에 대한 시장과 시 교육감의 책무와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예산 지원 근거와 더불어 사업에 대한 심의·자문을 위한 위원회 설치 등도 의무화했다.
전남도의회 역시 신민호 의원(더불어민주당·순천6)이 대표 발의한 ‘전라남도 일제식민잔재청산활동위원회’ 설치와 재정지원 근거 등을 내용으로 한 ‘식민잔재 청산·연구 활동 지원 조례안’을 12일 입법 예고했다.
조례안은 다음 달 초 제355회 임시회 본회의에 상정돼 통과될 예정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조례안에 근거한 사업을 진행하고 위원회 설치·운영 통해 체계적으로 작업을 벌여나갈 것”이라며 “시민단체 등에 그동안 접수된 친일 잔재물에 대한 다수의 제보도 구체적으로 확인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