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2000명대가 계속 넘을 경우에 대비해 병상 확보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까진 병상 대기가 없지만, 2000명대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2일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상급종합병원의 병상 동원 계획과 관련한 질의에 “중환자실을 추가로 확보하는 방안 등 병상 확충 방안에 대해 상급종합병원들과 여러 갈래로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손 반장은 “병상이 가장 빠르게 차고 있는 감염병 전담병원은 현재 전국적으로 26%가량 여유가 있고, 중환자 병상은 37%, 생활치료센터는 41% 정도 남아있다”면서도 “현재까지는 대기 없이 병상이 운영되지만 2000명대 이상의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병상 운영에 애로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와 관련 병상 운영 효율화 작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손 반장은 “생활치료센터와 중증환자·준중환자 병상 모두의 가동 능력을 확충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가용여력이 가장 적은 감염병 전담병원을 확충하는 데 특히 신경 쓰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다만 지난 3차 유행에 비해 현재 대유행에서 중증화율이 낮아 중환자 병상이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반면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 전담병원 수요가 더 빠르게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 반장은 “확보된 800여개의 중환자 병상 중 현재 300여개의 가용 병상이 남아 있다는 점이 3차 유행과 다른 부분”이라면서 “대신 총 환자 규모가 3차 유행 때보다 커지면서 생활치료센터나 감염병 전담병원의 수요가 더 많다. 환자가 늘어날 경우를 대비해 마련해둔 비상 계획에 따라 생활치료센터를 빠르게 확충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