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 노송동 전북지방병무청 인근에 ‘비사벌초사’라고 이름 붙여진 작은 기와집이 있다. 고(故) 신석정 시인(1907~1974)이 1961년 부안에서 전주로 이사와 눈을 감을 때까지 14년간 살던 곳이다. 시인은 이곳에서 시집 ‘빙하’, ‘산의 서곡’, ‘대바람 소리’ 등을 집필했다. 또 많은 문인들이 이 집에서 교류를 하며 문학과 인생을 논하였다. 고즈넉한 분위기와 시인이 가꾸었던 정원이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 전주시는 2018년 이 집이 시인의 삶과 문학세계에서 큰 가치를 있다고 보고 ‘전주시 미래유산 14호’로 지정했다.
비사벌초사가 자리 잡은 노송동 일대에 재개발사업이 추진되며 ‘신석정 고택’이 사라질 위기에 있어 이를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노송동 주민 10여명은 27일 전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전주시와 전주시의회는 신석정 시인의 고택 비사벌초사를 보존하고 ‘전주 신석정문학관’을 건립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문화도시로서 자긍심을 지켜야 할 전주시가 개발 논리에 밀려 역사 문화적 가치를 함부로 훼손하는 일이 일어나선 안 된다”며 고택 보존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을 추진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신석성 시인은 역사의 현장에서 올곧은 선비 정신과 역사의식을 보여준 시인”이라며 “일제강점기 때도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단 한 편의 친일시도 남기지 않은 지조 높은 시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전쟁, 군사독재 등 어려운 시대를 살아오면서도 부조리와 타협하지 않았다”며 “1961년 조국의 현실을 은유적으로 묘사한 시를 발표했다가 남산 대공분실에 끌려가 혹독한 취조를 받고 가까스로 풀려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은 “시인은 전북대, 영생대에서 시론 등을 강의하고 전주상고(현 전주제일고)에서 정년 퇴임하셨다”며 “시인의 삶은 전주, 특히 이곳 노송동 일원을 떼어 놓고서는 기술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신석정 시인이 보여준 올곧은 선비정신과 민족정기를 배우기 위한 장소인 비사벌 초사를 문화유적으로 온전히 보존하고, 근처에 전주 신석정문학관을 건립해달라”고 요구하고 “향후 남노송동을 ‘시인의 마을’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이 일대에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주민들 사이에 자택 보존 여부를 두고 의견이 나눠지고 있는 상황이다. 병무청구역 재개발 조합추진위원회 측은 이 일대에 노후 주택이 빼곡해 재개발 사업을 서둘러 재개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부안에서 태어난 신석정 시인은 1939년 첫번째 시집인 <촛불>에서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직은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등의 시를 발표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