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권 대권 주자들의 대선 준비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3인 3색’ 행보 속에서 각자의 목소리를 키웠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는 내부적으로 별도의 네거티브 대응팀을 조만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이른바 ‘윤석열 X파일’과 부인 및 처가 관련 의혹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캠프 밖 법률 대리인을 통해 ‘X파일’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정대택씨를 고소할 예정이다. 정씨는 2003년부터 윤 전 총장 처가와 각종 법적다툼을 벌이고 있다.
캠프 차원의 미진한 대응이 네거티브 확산과 지지율 하락을 조기에 차단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적극 대응으로 기조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윤 전 총장 측 관계자는 19일 “지지율 하락 원인으로 꼽히는 부분들에 대한 보강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20일 ‘보수의 심장’ 대구를 찾는다. 2·28 기념탑을 참배하고, 서문시장 등을 찾아 민생 행보를 이어간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당내 지지 기반 확대에 공을 들였다. 최 전 원장은 오 시장에게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경선 및 야권 단일화 과정에서 보여준 역전 드라마와 저력을 보고 감동했다”고 말했다. 뒤늦게 대선판에 뛰어든 후발주자인 상황에서 지지율 열세를 극복해야 하는 자신의 처지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오 시장은 “입당 너무 잘하셨다”며 “이제 당의 도움 받으실 수 있다“고 화답했다.
최 전 원장은 윤 전 총장과의 지지율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당내 인사들과 접촉면을 꾸준히 넓힐 것으로 관측된다.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는 이날 저서 ‘대한민국 금기 깨기’ 출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정치 행보에 나섰다. 그는 ‘제3세력화’와 4년 중임제를 기반으로 하는 분권형 개헌을 주장했다.
김 전 부총리는 CBS 라디오에서 제3지대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제3지대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지만 정치세력이 기득권을 내려놓고 환골탈태해야 한다”며 “정치세력과 의사결정 세력의 교체에 찬성하는 분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부총리는 책에서 “대통령 5년 단임제를 바꾸는 개헌이 필요하다”며 다음 대통령의 임기 초 개헌을 제안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