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18일 비수도권 지역에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를 일괄적으로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어졌던 4차 유행이 비수도권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다시 ‘인원수 제한’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 사적 인원 제한을 4인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결정한다.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 중인 수도권에서는 오후 6시 전까지 4명까지만 모일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사적모임 인원을 2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의 인원 제한은 지역별 유행 상황에 따라 4명, 6명, 8명 등으로 다양하다.
정부는 상대적으로 방역조치가 완화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일어날 수 있고, 휴가철을 맞아 이동량이 증가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사적모임 인원을 단일화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3일 비수도권 이동량은 전주(1385만건)보다 9.0% 증가한 1510만건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이동량이 11%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현재 수도권이 거리두기 4단계인 상황에서 비수도권은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4명, 6명, 8명 등 지역마다 달라 국민에게 혼선을 줄 수 있다”며 “비수도권의 사적모임 인원 제한을 4명까지로 단일화하는 방안을 각 지자체가 논의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한 바 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같은 날 온라인 정례 브리핑을 통해 “(비수도권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이르면 일요일에 발표가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