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놀이공원 ‘유니버설 스튜디오’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 탈을 쓴 직원이 ‘OK 손가락’ 표시를 하고 사진을 찍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OK 손가락’ 표시가 백인 우월주의 표식이라는 해석 때문이다.
14일(현지시간) 현지 언론 ‘올랜도 센티넬’에 따르면 두 가족은 오렌지 카운티 법원에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두 가족은 각각 2019년 2월과 3월에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방문했다. 두 가족의 아이는 각각 혼혈인 5살과 흑인인 6살이었다. 이들은 인기 애니메이션 ‘슈퍼밴드’의 인형 탈을 쓴 직원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와 사진을 찍어준 가족들은 뒤늦게 당시 캐릭터 인형 탈을 쓴 직원이 ‘OK 손가락’ 표시를 취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통상적으로 엄지와 검지를 붙여 원을 만들고 다른 세 손가락은 곧게 펴는 ‘OK’ 사인은 “알겠다”는 의미와 승낙의 뜻으로 통용된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백인우월주의 단체가 이 손 모양을 악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OK’ 사인을 아래쪽으로 만들면 ‘백인의 힘(White Power)’의 첫 글자인 ‘W’와 ‘P’로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2019년 뉴질랜드 모스크 총격 사건으로 무슬림 51명을 살해한 호주의 백인 우월주의자 브렌턴 태런트가 법정에서 OK 손가락 표시를 만들어 보이면서 백인우월주의 표식이라는 주장은 더욱 힘을 얻었다.

흑인인 게이시 모레노 가족은 소장에서 “인형 탈을 쓴 직원은 이 손짓이 백인우월주의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그의 상사는 그런 손짓을 방치했다”며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차별적 행동이 반복되는 동안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모레노 가족에 따르면 그들은 2019년 8월 유니버설 스튜디오에 연락해 사건 조사를 요청했지만 놀이동산 측은 상품권과 무료입장권으로 무마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가족은 “정신적 충격, 모욕, 명예훼손 등의 피해를 보았다”며 모두 10만 달러(한화 약 1억1500만원) 이상의 피해보상금을 요구했다.
유니버설 스튜디오 측은 “현재 진행 중인 소송에 관해 답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USA투데이의 인터뷰를 통해서는 “문제의 손짓을 한 직원은 이미 해고됐다”라고 전했다.
이주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