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파력이 강한 인도발 델타 변이 확산에 따라 당분간 현재 수준이 유지될 거라는 방역당국의 전망이 나왔다.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하면 하루 확진자가 순식간에 2000명대로 늘어날 것으로도 예상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기자 설명회에서 최근 델타형 변이가 다른 주요 변이에 비해 유행 속도가 빠르고 발생 비율이 높다는 진단을 내놨다.
방대본 분석을 보면 최근 1주일간 주요 변이 검출율은 50.1%로 나타났다. 확진자가 변이 바이러스 검사를 했을 때 절반 이상이 변이 확진자 판정을 받았다는 뜻이다. 해외 유입 사례에선 주요 변이 검출율이 96.8%나 됐다. 국내 감염 사례로 봐도 주요 변이 검출율은 39%로 낮지 않았다.
주요 변이 중에서도 인도발 델타 변이의 확산세가 심상찮다. 해외 유입 사례 중 델타 변이 검출율은 81.5%, 영국발 알파 변이는 12.1%였다. 국내 사례로만 따져보면 알파 변이가 29.1%, 델타 변이가 9.9%를 기록했다. 다만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 중심의 확산세를 보면 안심할 수 없다. 수도권 확진자 중 주요 변이 검출율은 39.3%였으며, 26.6%가 알파형, 12.7%가 델타형 변이 확진자로 나타났다.
방역당국은 델타 변이의 전파력을 경계하고 있다. 이상원 질병관리청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델타형 변이가 다른 비변이주에 비해 전파력이 60%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입원을 비롯한 중증이 될 수 있는 확률도 2배 정도 높다는 결과가 있다”며 “외국의 경우에도 델타형 변이가 발생하면 방역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0시 기준 1212명으로 집계됐다. 1240명을 기록했던 지난해 12월25일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숫자다. 4차 대유행이 현실화한 시점에서 확진자 수는 당분간 1000명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00명대로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감염재생산지수가) 계속 1이 넘을 경우 증가 추세로 갈 가능성이 높다”며 “1000명의 확진자가 유지된다면 2~3일 지나 1250명이 되고, 갑자기 늘어나게 되면 어느 순간 당장 2000명으로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