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령층 1차 예방접종이 마무리되는 7월 이후부터 국내 코로나19 사망자가 대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망률이 급감해 코로나19의 위험도가 낮아지면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9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이론적으로 백신접종을 받아야 하는 모든 고령층이 예방접종을 받는다면 7월 이후에는 고령층 사망자가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은 “최근 자료를 보면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 10만 명당 90.8명의 감염이 발생했고, 1회 접종을 하고 14일이 경과된 경우에는 10만 명당 8.1명 정도로 감염 수준이 대폭 감소했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도 90.8%, 화이자 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도 100%의 감염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접종을 받은 후에 설사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많은 연구자료와 실증자료에서는 백신 접종에 따른 중증화 비율과 치명률이 함께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이런 점들에 근거해서 저희가 고령층 예방접종이 끝나는 6월 말을 거쳐 7월이 되면, 전체적으로 사망하시는 분들이 대폭 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것”이라며 “만약 그럴 수 있다면 코로나19를 더 이상 사망을 일으키지 않는 위험도가 훨씬 덜한 감염병으로서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고령층에서 대부분 발생하고 있는 만큼, 고령자의 백신 예방접종이 완료되면 생활방역으로의 이행도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또한 정부는 지금처럼 일일 확진자 600명대 규모가 유지된다면 6월 말 이후부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적용하는 등 사회적 대응을 조절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현재 5단계(1→1.5→2→2.5→3단계)로 이뤄진 거리두기 단계를 1∼4단계로 줄이고 다중이용시설의 영업금지를 최소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거리두기 개편안 초안을 공개한 바 있다.
단계별 기준을 인구 10만명당 평균 확진자 수로 하고, 단계에 따른 사적모임 규모를 연계한 점이 특징이다.
손 반장은 “6월 말 예방접종이 끝난 이후에 접종의 효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라며“그런 것들을 함께 감안하면서 다시 사회적 대응을 좀 더 조절해 나간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3일 자정까지인 현행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등 방역 조처 조정 방안을 금요일인 21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는 수도권 2단계·비수도권 1.5단계와 전국적으로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를 적용하고 2단계 지역에선 식당·카페 취식과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등에 대해 오후 10시 이후 운영시간을 제한하고 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