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1. 남혐 말하는 이대남, 그 목소리의 정체
2. 그들의 진짜 속마음
3. 커뮤니티 젠더 전쟁
4. 정치권의 이대남 사용법
5. 반복되는 젠더 혐오, 진짜 문제는
1. 남혐 말하는 이대남, 그 목소리의 정체
2. 그들의 진짜 속마음
3. 커뮤니티 젠더 전쟁
4. 정치권의 이대남 사용법
5. 반복되는 젠더 혐오, 진짜 문제는

“이건 남성혐오(남혐) 아닙니까?”
‘젠더 이슈’는 여성들의 문제라고 인식돼 왔던 한국 사회에서 남성들이 입을 열기 시작했다. 4·7 재보선 이후 20대를 주축으로 남성에 대한 역차별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트위터 등 SNS에서는 일부 용어들이 남성에 대한 ‘혐오 표현’이라는 문제 제기도 잇따르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남성 문제의 시대’가 열리는 것일까.
‘남혐’에 대한 사회적 관심, 재보선 기점 ‘여혐’ 넘어서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온라인상에서 ‘여성혐오’(여혐)에 비해 덜 사용되던 ‘남혐’이나 ‘남성차별’ 같은 용어의 사용이 급증했다는 점이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썸트렌드’에서 올해 1월부터 5월 11일까지 커뮤니티, 인스타그램, 블로그, 뉴스, 트위터 등에서 사용된 ‘남성혐오’ 언급량이 잘 보여준다.
여혐과 비교해 남혐이라는 용어는 지난해까지 크게 사용되지 않던 단어였다. 지난해 온라인상 여혐 언급량은 162만3252건에 달했지만 남혐 언급량은 36만1104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 1월 1일부터 5월 11일까지 통계를 보면 남혐은 33만2928건, 여혐은 54만9568건이 언급됐다. 5월 현재 이미 지난해 전체 언급량에 육박한 것이다.
지난 1~2월 2만여건에 머물던 ‘남혐’ 언급량은 3월엔 8만6319건, 4월에는 12만184건으로 비약적으로 늘었다. 특히 재보선 직후인 4월 12일 남혐이 여혐보다 높게 언급되는 역전 현상이 일어난 뒤 최근까지 남혐이 여혐보다 더 자주 언급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네이버 데이터랩의 검색어 분석 결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남성혐오, 남혐이란 검색어가 4월 재보선 이후 급등했다. 검색이 많은 시점을 100으로 기준 삼았을 때, 4월 초까지만 해도 5 안팎에 머물렀다. 하지만 재보선 이후 부쩍 늘어나기 시작해 20일엔 53, 남혐 온라인 게시물 논란이 불거진 5월 3일엔 100을 기록했다. 카카오에서도 유사한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10대까지 내려간 ‘남혐’ 다툼
10~20대가 즐겨보는 웹툰에서도 ‘남혐 논란’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네이버 웹툰 ‘바른연애 길잡이’ 속 장면들 곳곳에 남성을 비하하는 의성어 등이 사용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집단적으로 해당 웹툰의 평점 테러 공격이 이뤄졌다. 보통 9점대 후반의 평점을 기록했던 해당 웹툰의 최근 회차 콘텐츠는 평점이 5~8점대까지 떨어졌다. 이후 다른 웹툰에서도 유사한 논란이 크고 작게 이어졌다.

온라인에서 남혐 이미지나 용어 사용을 색출하는 움직임이 커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1일 GS25의 캠핑 행사 상품 광고에 여성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상징한다는 이미지를 담고 있다며 논란이 제기된 뒤 남초 커뮤니티 등에서는 홍보물에서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내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경찰청 같은 공공기관과 무신사 등의 기업, 과거 방송 자막 등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번지는 모습이다. 단순히 찾는 데 머물지 않고 해당 기업 상품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졌고, 이는 유통업계에 새로운 변수로까지 여겨진다.
‘남혐’ 관심=남성 차별? …젠더 갈등 부추기는 정치권
청년층, 특히 ‘이대남’으로 명명된 20대 남성들이 말하는 ‘남혐’의 실체는 과연 무엇일까. 남성혐오에 대한 관심이 곧 ‘남성에 대한 차별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까.엄밀히 말해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이대남’은 차별 당하는 약자나 소수자 그룹으로 묶여본 적이 없었다. 이들을 대표할 만한 단체나 이론적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이대남의 생각은 파편적으로 소비돼 왔다고 볼 수 있다. 재보선 이후 페미니즘을 옹호해온 진보 진영과 문재인정부에 대한 비판이나 반발로 이대남의 목소리가 규정되는 측면도 있다. 이대남 목소리의 실체와 상관없이 정치권에서 이들을 하나의 대표적인 목소리처럼 묶어 젠더 갈등을 부추기는 데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야당의 청년 정치인 이준석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대표적이다. 그는 출구조사 결과 20대 남성의 72.5%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를 찍어준 선거 결과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2030 남성의 표 결집력을 과소평가하고 여성주의에만 올인했다”는 점을 이유로 댄다. 하지만 선거 이후 국민의힘에선 진짜 20대 청년들의 문제에 대해 이렇다 할 정책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당장 1년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앞두고 한 표가 아쉬운 민주당의 모습도 비슷하다. 민주당에선 ‘군가산점제 부활’ ‘여성징병제’ ‘여성가족부 폐지’ 등을 말하고 있다.
진짜 20대 남자들의 문제는 무엇인가
전문가들은 현재 이대남의 목소리와 남혐 표현 논란의 실체를 제대로 들여다보고 한국 사회가 대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온라인에서 제기되는 ‘남혐’ 논란은 기존의 ‘여혐’과 동일선상에 두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 썸트렌드에서 분석한 두 단어의 연관어들을 봐도 양상이 다르다. 남혐의 경우 ‘손가락 그림’이나 ‘허버허버’와 같은 용어 등은 메갈리아와 같은 특정 커뮤니티에 연원이 있다는 점에서 남성들의 불만을 불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실제 현실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불이익이 존재하고, 또 폭력과 범죄에 대한 불안감은 생존의 문제와 직결되는 ‘여혐’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12일 “20대 남성들의 불만을 ‘남혐’의 실체가 있다고까지 볼 수 있냐에 대한 이견은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의 불만엔 근거가 있다”며 “재보선을 계기로 억눌려 있던 남성들의 목소리가 표출되는 것은 이제는 자신들의 목소리도 들어 달라는 취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학 진학과 취업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구조적인 양극화와 일자리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20대 남성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손희정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이대남의 목소리를 구체적으로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실제 2030 청년 남성들의 삶이 어떠한지 고민을 안하면서 반페미니즘 정서에 기대는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이현 박구인 박상은 기자 2hyun@kmib.co.kr
[이대남은 왜?]
▶②“역차별은 없지만…군대 보상은 필요해”[이대남은 왜]
▶③‘미러링’ 탈 쓴 ‘젠더 혐오’ 전쟁의 역사[이대남은 왜]
▶④“젠더 갈등은 ‘가짜 적대’”…실속 없는 이대남 정치[이대남은 왜]
▶⑤‘여자 탓’으로 20대 남자 문제 못 푼다 [이대남은 왜]
▶⑥“여성 가산점, 도대체 왜?”…‘역차별’의 속사정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