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소속 홍준표 의원이 국민의힘 당대표 도전 뜻을 밝힌 김웅 의원과 연일 ‘SNS 설전’을 벌이고 있다.
김 의원이 홍 의원 복당에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피력한 것이 대선주자를 지낸 중진의원과 초선의원 간 신경전을 벌이는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홍 의원은 10일 “이제 당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며 복당 절차를 밟겠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철부지가 세상 모르고 날뛰면 설득해 보고 안 되면 꾸짖는 것이 어른의 도리”라는 글을 올렸다. 이어 “염량세태(권세가 있을 때만 아첨하며 좇는 세속의 형편)가 되다 보니 선후배도 없고 위아래도 없는 막가는 정치가 돼 간다”고 한탄했다. 실명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다분히 자신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김 의원을 겨냥한 말이다.
홍 의원은 “신구미월령(新鳩未越嶺)이라는 고사성어도 있다. 부디 자중하시라”고 글을 맺었다. 신구미월령은 ‘어린 비둘기는 재를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경험이 부족한 젊은 사람은 나이 든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는 앞서 지난 9일에도 초선 당대표론을 내건 김 의원을 가리켜 “일찍 핀 꽃은 일찍 시든다”고 직격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막무가내로 나이만 앞세워 정계 입문 1년밖에 안 되는 분이 당 대표를 하겠다고 하는 것은 좀 무리가 아닌가”라고 언급했다.
또 “온실 속에서 때가 아닌데도 억지로 핀 꽃은 밖으로 나오면 바로 시든다”며 “좀 더 공부하고 내공을 쌓고 자기의 실력으로 포지티브하게 정치를 해야 나라의 재목으로 클 수 있다. 보다 못해 한마디 했다”고 꼬집었다.

홍 의원이 이 글을 올린 지 몇 시간 뒤 김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꽃은 시들기 위해 피는 것이고, 찰나의 미학이 없는 정치는 조화(造花)와 같다”고 응수했다.
김 의원은 ‘홍준표 의원님께’로 시작하는 글에서 “칼바람 속에서도 매화는 핀다. 그 첫 번째 꽃이 없으면 겨울은 끝나지 않는다”며 “시든 꽃잎에는 열매가 맺지만 시들지 않는 조화에는 오직 먼지만 쌓인다”고 말했다. 이어 “의원님은 시들지 않는 조화로 사시라”고 날을 세웠다.
김 의원은 지난 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홍 의원의 복당 문제를 두고 “당원들이 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의 몇몇 리더가 흉금의 말을 막 하다가 선거를 망친 경우가 많았다”고 비판한 바 있다.
홍 의원은 10일 복당 기자회견을 마친 뒤 김 의원과의 설전 관련 취재진 질문에 “그건 내가 더 이상 상대 안 하겠다”며 “지난 6개월 동안 참고 있었던 것인데, 오늘 쓴 글이 마지막”이라고 답했다.
그는 “선배를 떠민다고 해서 정치판에서 자기가 올라가는 게 아니다. 나는 정치판에서 그걸로 성공한 것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가시를 남겼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홍준표 “윤석열은 날치기 공부, 이재명은 양아치짓”
▶복당 요구 홍준표 “윤석열, 날치기 공부. 이재명은 베네수엘라행 급행열차”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